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청와대 "GSOMIA 종료 유예, 일본 시각 전달하는 한국 언론보도 이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이 지난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4일 “일본의 입장을 반영한, 일본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국내 언론의 비합리적인 비난 보도가 다시 시작됐다”며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유예 결정 후 이어진 한·일간 이견과 외교 성과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윤 수석은 이날 이날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막이 준비 중인 부산 벡스코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일간 충돌과 마찰이 있을 때마다 일본 측의 시각으로 일본의 입장을 전달하는 국내 언론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수석은 “일본이 한국에 대해서 수출규제를 하자 ‘한국이 곧 망할 것’이라는 취지의 보도가 홍수를 이뤘다. 우리 정부가 GSOMIA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하자 안보가 곧 붕괴될 것이라는 보도가 난무했다”고 했다. 이어 윤 수석은 “우리가 원칙을 지키면서 일본과 협상을 한 결과가 나왔다. 일본의 입장을 반영한, 일본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국내 언론의 비합리적인 비난 보도가 다시 시작됐다”고 비판했다.

윤 수석은 “(GSOMIA 카드를 쓰지 않았다면)일본은 그들이 밝혀온대로 협상에 응하지 않았을 것이다.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는 아무런 실마리 없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국익의 관점을 요청드리는 게 아니다. 제발 있는 그대로, 사실 그대로 보도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이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한·일간 당초 발표키로 한 일본 측 합의내용은 아주 의도적으로 왜곡, 또는 부풀려서 발표했다”며 일본 측 주장을 반박한 데 대해 “추호의 과장이나 거짓이 없다”며 “일본 언론의 주장과 보도가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보도가 사실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 수석은 일부 언론이 ‘GSOMIA 카드를 다시 쓰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도한 데 대해 “도대체 무슨 근거로 주장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