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백원우 휘하 '하명수사' 의혹 특감반원 사망에 靑 "입장 낼 사안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청와대 전경. 연합뉴스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현 민주연구원 부원장) 밑에서 '특별감찰반'(민정 특감반)에 소속돼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검찰 A수사관이 1일 검찰 조사를 앞두고 숨진 채 발견됐다. 청와대는 언급을 삼간 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이날 사정당국에 따르면 A수사관은 이날 오후 4시쯤 서울 서초구의 한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오후 6시 검찰 참고인 조사를 2시간 앞둔 시점이었다. A수사관은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말과 함께 최근 심리적 어려움을 겪었음을 시사하는 내용의 메모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A수사관은 민정 특감반 파견 근무를 마친 후 검찰로 복귀한 후 서울 동부지검 형사6부서 근무중이었다.

서울중앙지검은 A수사관 사망에 대해 "고인과 일정을 협의해 오늘 서울중앙지검에 참고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며 "고인은 오랫동안 공무원으로 봉직하면서 강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성실하게 근무해오신 분으로 이런 일이 발생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일이 벌어졌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면서도 이에 대해 별도의 언급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다른 관계자 역시 "청와대가 입장을 낼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A수사관은 청와대로 파견돼 민정비서관실 특별감찰반원으로 재직할 당시인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울산지방경찰청이 김기현 전 울산시장 주변의 비위 혐의를 수사한 일과 관련해 불거진 '청와대 하명 수사 의혹'에 연루됐다고 지목된 인물로 전해진다.

당시 청와대에서 경찰청에 이첩한 김 전 시장 주변 비위 첩보가 울산경찰청으로 하달됐으며 이에 근거해 수사가 이뤄졌다. 이와 관련해 민정 특감반원들이 울산으로 내려가 수사상황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A수사관은 당시 울산경찰청을 방문했던 2명의 특감반원 중 한명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A수사관은 울산지검에서 한 차례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A수사관을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었다.

세계일보

10월 13일 오후 서초구 대검찰청 모습. 연합뉴스


일각에선 검찰의 지나친 압박 수사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불거지기도 했다. 연합뉴스에 한 관계자는 "정확한 경위는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검찰의 강압수사가 아니었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은 다른 것보다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진상을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무엇보다도 그를 조사한 검찰이 경위를 잘 알고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한편, 김 전 수사관에 대한 수사는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실에서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이 경찰청에 첩보문건을 내려보내며 시작됐다.해당 첩보는 김 전 시장 측 박기성 전 울산시장 비서실장 등이 건설업체로 하여금 관내 업체에 일감을 주도록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는 해당 첩보가 청와대에서 경찰청을 거쳐 울산경찰청에 하달된 뒤 수사로 이어진 과정 전반을 살펴보고 있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