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檢 칼날, 권력 핵심 겨냥해 오는데… 청와대는 침묵 길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경수ㆍ윤건영ㆍ천경득 등 친문 핵심 줄줄이 거론 심상찮아
한국일보

서울 세종대로에서 바라본 청와대 모습. 배우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품수수 혐의로 구속된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의 칼날이 연일 청와대를 직접 겨냥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연일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한 여러 의혹이 쏟아지며 검찰 수사가 전방위로 이뤄지던 앞선 10월에도 분위기가 비슷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때보다 침묵의 밀도가 더 높다. 조 전 장관 의혹에 대해선 여권 지지층이 앞장서 검찰 수사에 대한 반박 논리를 찾아내 굳이 청와대 차원에서 대응할 필요가 적었지만, 지금은 친문 핵심 인사들이 대거 연루됐다는 의혹이 나오는데도 검찰 수사의 진의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여권 내에서는 검찰이 주도하는 사정정국에 청와대가 속수무책으로 끌려가자, “민정수석라인이 무능하다”는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 유 전 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의혹과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 등과 관련해 언급을 자제했다. 하지만 수면 아래에선 검찰 수사가 조 전 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재직했을 당시 민정수석실을 겨냥하자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노영민 비서실장이 지난달 29일 국회 운영위에 출석해 어느 정도 의혹을 해소할 수 있었다는 내부 평가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검찰 수사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사건을 은폐한 듯한 정황이 하나씩 흘러나오자 뭔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상당하다.

청와대는 일단 유 전 부시장과 관련해선 자체 감찰을 실시해 합당한 인사조처를 실시했다는 입장이다. 이후 감찰 과정에서의 압력 행사 등은 확인되지 않은 설(說)일 뿐이라는 것이다. 김기현 전 시장 하명수사 의혹 또한 정상적인 이첩 절차를 따랐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일부 언론이 검찰발 정보를 받아쓰기 하면서 설이 난무할 뿐”이라며 “제기된 의혹은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여권에서는 최근 검찰 수사의 흐름이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크다. 특히 야당이 유 전 부시장 감찰 무마 과정에 친문 실세들이 개입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상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크다. 김경수 경남지사,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천경득 총무비서관실 인사담당 선임행정관 등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이광철 현 민정비서관이 검찰의 사정권에 들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여권 한 관계자는 “지금 거론되는 인사들은 핵심 중에 핵심인 인사들”이라며 “사실 여부를 떠나 야당이 거듭된 의혹 제기로 여론을 자극한다면 감당이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여권 내에서는 사의를 표하고 사실상 업무에서 손을 뗀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을 제외하면 김조원 민정수석 등 지금의 민정라인이 비검찰 출신 일색인 탓에 검찰발 이슈에 대한 대응이 대응이 서툴다는 비판이 끓어오르고 있다. 특히 청와대의 침묵이 길어질 경우 검찰개혁을 비롯한 사법개혁의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여권 한 관계자는 “지금도 모두가 문재인 대통령의 입만 바라보고 있는 형국”이라며 “민정수석실이 제 역할을 못할 경우 결국 부담은 문 대통령에게 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