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술의 세계

846년간 한자리 회전식 경전 '예천 윤장대' 국보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건축물 대장전과 통합해 지정…"일체성 있고 가치 뛰어나"

연합뉴스

국내 유일 회전식 불교 경전 '예천 윤장대'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840년 넘게 한자리를 지킨 불교 공예품 예천 용문사 윤장대(輪藏臺)와 윤장대가 있는 건물인 대장전(大藏殿)이 국보로 승격됐다.

문화재청은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보물 제684호 '예천 용문사 윤장대'를 묶어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라는 명칭으로 국보 제328호로 지정했다고 2일 밝혔다.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 김보당의 난 수습을 위해 조응대선사가 발원하고 조성했다. 중세 건축물로는 드물게 1185년 자료인 중수용문사기(重修龍門寺記)가 존재해 발원자와 건립 시기·목적이 알려졌다.

이후 수차례 수리를 거쳤는데, 최근 동쪽 윤장대에서 1625년을 의미하는 '천계오년'(天啓五年)이라는 묵서명이 나타나 17세기에 수리돼 오늘날에 이르고 있음이 확인됐다.

윤장대는 불경을 넣고 손잡이를 돌리며 극락정토를 기원하는 회전식 경장(經藏)으로, 전륜장·전륜경장·전륜대장이라고도 한다. 한 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으로 인식돼 불경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신앙 대상이었다.

충북 영동 영국사, 금강산 장안사 등지에도 윤장대 설치 흔적과 기록이 있으나, 전통시대 국내 유물로는 용문사에 유일하게 현존한다.

용문사 윤장대는 고려 초기에 중국 송나라 전륜장 형식을 수용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장전 양쪽에 한 좌씩 설치했으며, 형태는 팔각형이다. 한가운데 목제 기둥이 회전축 역할을 하며, 팔각 면 창호 안쪽에 경전을 넣을 공간이 있다.

미술사 측면에서는 동쪽과 서쪽 창살을 달리해 간결함과 화려함을 대비시켰다. 음양오행과 천원지방 사상을 적용해 회전축에 원기둥과 각기둥을 사용하고, 창문 아래 공간을 막는 마름청판과 통풍을 위한 구멍인 풍혈을 양각과 음각으로 조각했다.

연합뉴스

예천 용문사 대장전
[문화재청 제공]



대장전은 일반적으로는 불교 경전을 보관하기 위해 세우는 건물이지만, 용문사의 경우 윤장대를 보호하려고 지었다. 건물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공포(지붕 하중을 받치기 위해 만든 구조물)가 여러 개인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건물을 지은 뒤 8차례 이상 중수했다. 하지만 초창기 규모와 구조는 유지했고, 대들보에 있는 항아리형 단면 등 일부 요소는 여말선초(麗末鮮初) 수법이 남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건축물 문화재 국보 승격은 2011년 '완주 화암사 극락전' 이후 8년 만이다.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재위 861∼875) 대 두운선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온 뒤 정진한 곳으로 알려졌으며, 후삼국시대 이후 사찰로서 면모를 갖췄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용문사 대장전은 국내 유일의 경장 건축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가치가 있고, 한 쌍으로 된 윤장대는 동아시아에서도 사례가 없어 매우 중요하다"며 "희소성과 상징성 면에서 국보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문화재청 제공]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