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은행들, 대출규제에 주담대 속도조절…11월 증가세 '주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농협·우리은행은 전월보다 잔액 감소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김연숙 기자 = 연말을 앞둔 주요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를 의식해 주택담보대출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3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11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436조714억원으로 전달보다 2조7천826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0월 증가폭(3조835억원)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둔화했다.

연합뉴스

은행들, 대출규제에 주담대 속도조절…11월 증가세 '주춤' (CG)
[연합뉴스TV 제공]



연말을 맞아 금융당국이 설정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인 '5%대'를 맞추기 위해 은행들이 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 가계대출을 많이 늘린 은행과 그렇지 않은 은행간 주담대 증감 차에서 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주담대는 가계대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부분이다.

농협은행은 올 10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이 주요 은행 중 가장 높은 9.5%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농협은행은 10월에 주담대를 1천637억원 줄인 데 이어 11월에도 3천566억원 추가로 감축했다.

농협은행은 이를 위해 9월 26일에 고정·변동형 주담대의 우대금리 한도를 0.3%포인트 축소했고 지난달 1일엔 고정형 주담대의 가산금리를 0.18%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또 1~10월 가계대출 증가율이 당국의 목표치(5%대)를 넘어선 신한은행(6.9%), 우리은행(6.5%), 하나은행(6.1%) 등도 11월 주담대 증가폭이 10월보다 작거나 다소 많았다.

이중 우리은행은 11월 주담대가 1천145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 9천억원가량을 주택금융공사로 넘겨 그만큼이 잔액에서 차감된 영향도 작용했다고 우리은행은 설명했다.

반면 10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이 2.1%로 낮았던 국민은행은 11월에 주담대를 1조4천430억원 늘렸다. 10월 증가액(7천260억원)의 두 배다.

국민은행은 대출금리를 크게 조정하지 않아 다른 은행에 비해 금리가 낮은 데다 대출받을 수 있는 한도가 큰 모기지신용보증(MCG)·모기지신용보험(MCI) 연계 대출상품을 팔고 있어 대출 쏠림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신한·우리·하나은행은 MCG·MCI 연계 대출상품의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표]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 현황

(단위: 억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pseudoj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