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KAIST-다보스포럼 10일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EF 4차산업혁명센터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정책 공동 연구

연합뉴스

2017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WEF-KAIST 라운드테이블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세계경제포럼(WEF·일명 다보스포럼)과 함께 교내에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이하 KPC4IR)를 설치하고 10일 개소식을 한다고 3일 밝혔다.

세계경제포럼은 지난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4차 산업혁명 생태계 구축 공동 연구를 위해 KPC4IR을 설립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KAIST는 협약 실행 기관으로 선정돼 개소를 준비해 왔다.

KPC4IR은 WEF 4차산업혁명센터와 기존 협업해 왔던 블록체인과 정밀의료 분야 공동 연구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분야에 미칠 영향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관련 정책과 기술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개소식에는 무라트 손메즈 세계경제포럼 4차산업혁명센터장, 저스틴 우드 세계경제포럼 아시아태평양 지역정책국장, 쉴라 워렌 세계경제포럼 4차산업혁명센터 블록체인·분산원장기술 소장 등 WEF 핵심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송희경·신용현·이상민 의원, 원희룡 제주지사,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정부·공공기관 인사들도 함께한다.

무라트 손메즈 센터장이 '4차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리더로의 도약'을 주제로 진행하는 리더십 라운드테이블도 이어진다.

KPC4IR 소장을 맡은 이상엽 특훈교수는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사회·경제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jyou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