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 런던을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조찬 회동 이후 주한미군 전부를 계속 주둔시키는 게 미국의 안보이익에 부합한다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대해 "그건 토론해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어느 쪽으로든 갈 수 있다. 나는 양쪽으로 주장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가 그렇게 (주둔)하려면 그들(한국)은 더 공정하게 부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트럼프 대통령 언급은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에서 한국 정부의 백기 투항을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한반도 미군 주둔에 대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생각도 함께 표출된 셈이다.
미국의 외교 안보 당국자들은 전통적으로 한미 동맹을 강조하면서 주한 미국은 미국의 지역 안보에도 필요하다면서 철수 문제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또는 한미 연합 훈련 실시에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다는 얘기는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이날 발언을 단순히 방위비 압박 발언으로만 치부하기 힘든 이유다.
|
그는 또 지난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약속하고 이를 발표했지만 미 국방부는 이를 뒤늦게 알게 됐다고 전했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