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소장유물 9천여점…국내 최대규모 ‘부산증권박물관’ 개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국제금융센터에…연간 13만명 방문 예상

뉴시스

[부산=뉴시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자료사진. 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 부산에 국내 최대규모의 ‘부산증권박물관’이 오늘 문 연다.

부산시와 한국예탁결제원은 4일 오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2단계 건물에서 부산증권박물관 개관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돌입한다.

개관식에는 오거돈 부산시장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이전공공기관장과 증권유관기관장 등이 참석해 테이프커팅과 축하공연, 박물관 투어 등을 한다.

부산증권박물관은 BIFC 2단계 건물 2층에 부지면적 4952㎡(전용면적 2728㎡)에 소장유물만 9000여 점에 달한다. 운영인력 50여명으로 예상관람객은 연 13만명 이상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물관 규모는 스위스 증권박물관, 대만의 대만집중보관결산소(TDCC) 주식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증권박물관에 꼽힐 정도의 다양한 자료를 갖췄다.한국예탁결제원이 지난 2004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관한 일산 증권박물관의 3배 규모에 이른다.

부산증권박물관은 ‘증권이 만든 세상’ 전시주제로 증권 관련 세계경제사, 대한민국 증권발행 역사와 문화, 증권의 미래상 등을 전시실에 구현하고,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주권 등 107점을 선보인다.

특히 부산의 첫 백년기업인 ‘성창기업’과 80년대까지 신발산업을 주도했던 ‘태화’ 등 부산 기업들의 증권과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광복동 증권시장 재현 공간도 조성해 부산시민들을 맞이한다.

전시실은 상설전시실 3개, 주제전시실 1개와 주제영상관 1개, 금융라이브러리, 수장고, 교육실, 학예사무실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북카페 형태의 금융라이브러리에는 일반인은 물론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 금융·경제 관련 도서 6000여 권을 비치하고 정기적인 명사특강을 개최하는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용된다.

부산시는 2015년 9월 부산증권박물관 유치를 확정하고 그해 12월 한국예탁결제원-부산시-실버스톤 간 부산증권박물관 건립 업무협약(MOU)을 체결,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본격 추진했다.

부산은 1878년 근대적 은행제도로서의 우리나라 최초 은행지점이 개설된 이후 1891년 제국생명이 최초 지점 개설된 곳이기도 하다. 또 1960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신협이 개설된데 이어 1980년 1월 1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한생명보험 영남총국이 부산 동구에 개설됐다.

아울러 1989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전국 은행 중 서울이 아닌 지방(부산)에 본점을 둔 전국규모 은행인 동남은행이 설립되는 등 대한민국 금융산업의 1번지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쓰기도 했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은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전자증권시대 개막과 함께 증권실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전시하고 금융·경제교육 공간 조성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자 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물로 평가되고 있다.

부산국제금융센터에는 이미 한국은행 부산본부 화폐전시관, KRX 자본시장역사박물관, 부산은행 금융역사관, 기술보증기금 기술체험관 등이 조성돼 금융교육과 전시공간의 역할을 하는 ‘부산금융박물관로드’가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한국예탁결제원의 부산증권박물관 개관은 부산금융 문화예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 전망이다.특히 금융중심지로서의 금융과 교육, 문화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보고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BIFC에 이미 개관한 자본시장 역사박물관, 드림씨어터 등과 더불어 한국예탁결제원의 부산증권박물관은 금융중심지 부산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며 “부산은 근대 금융의 모태였던 곳으로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금융인프라 구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raid@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