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자급제폰 개통거부 금지...내년부터 가이드라인 시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자급제 스마트폰을 통한 서비스 가입 거부가 금지된다. 통신사는 자급제 스마트폰 가입자에 대한 유통점 수수료를 차별할 수 없고, 제조사는 자급제 단말 공급을 거절하거나 수량을 제한할 수 없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이동통신 자급제 단말기 유통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24일 밝혔다. 자급제 단말기 이용자 편의를 늘리고 공정 유통 경쟁 질서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가이드라인이다. 내년 1월부터 2년간 시행한 뒤 타당성을 검토해 2년마다 개선될 예정이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급제 스마트폰은 이용자가 빠르게 늘며 자급제 스마트폰 유통 과정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됐다. 통신사들이 자급제 단말기를 이용해 통신사로 가입을 유치하기 위해 우회적 불법 지원금을 지급하는 등의 사례가 이어졌다.

이에 방통위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이동통신사, 단말기제조사, 유통점이 참여하는 가이드라인 연구반에서 그동안 제기된 소비자민원, 불편법 판매사례 등을 검토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자급제 단말기 공급단계에서 제조사는 부당하게 공급을 거절 또는 중단하거나 수량을 제한할 수 없다. 통신 서비스 연동 규격을 막는 행위도 금지된다. 자급제 단말기 판매 단계에서 특정 통신사 가입조건을 연계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또한 부가세를 포함한 판매가격은 영업장에 게시해야 한다.

김석진 부위원장은 "가이드라인이 뒤늦게라도 만들어져 다행이지만 가이드라인은 한계가 있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진 의문"이라며 "시장을 잘 관찰해 법적으로 미비한 점을 보완하기 바란다" 고 말했다.

방통위는 가이드라인이 시장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와 불공정행위 신고센터를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abc123@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