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아이를 농촌으로 유학보내세요, 외국말고"...'사회적 경제'로 농어촌 문제 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북 제천의 사회적 기업인 농촌공동체연구소는 농촌지역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목공·도예·제과·제빵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 기업은 주민들 사이의 소통과 이해를 바탕으로 구성한 교육공동체를 통해 아이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등 지역사회의 부족한 교육·복지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경향신문

제주 서귀포지역의 결혼이민여성 등이 공심채농업회사법인의 밭에서 채소를 재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의 공심채농업회사법인은 지역의 결혼이민여성들과 함께 아열대채소를 재배하고, 재배한 식재료를 활용하는 식당을 운영하는 방법으로 결혼이민여성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고 있다.

이런 사례는 ‘사회적 경제’를 추구하는 기업이나 조직들이 농·산·어촌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힘을 보태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적 경제’는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경제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사회적 경제를 통해 농·산·어촌의 문제를 풀어가기 위한 정책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농촌진흥청·산림청은 5일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농·산·어촌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사회적경제를 통해 농·산·어촌지역의 복지·교육·문화 분야 서비스 부족 문제를 보완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이번 방안은 현재 전국의 농·산·어촌지역에서 약 5000개 이상의 사회적 경제 기업이 활동하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역할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나왔다.

정부는 우선 사회적 경제를 추구하는 기업·조직 등을 통해 농·산·어촌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활성화해 나가는데 힘을 쏟기로 했다. 음악·인문학·치매예방 등과 같은 교육·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사회적 경제 기업을 통해 운영해 나가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또 사회적 경제 관련 기업·조직이 ‘농촌유학(도시 학생이 농촌에 살면서 지역 학교에 통학하고 농촌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나 숲체험 교육사업, 농촌형 교통모델 등 사회 서비스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기로 했다. 농·산·어촌지역의 돌봄 사업도 사회적 농업 지원사업과 연계해 추진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생필품을 공급하고 의료·복지·금융서비스를 지원하는 ‘찾아가는 행복장터’ 사업이나 농어업인 의료서비스, 결혼이민여성 모국방문, 농어업인 자녀 장학금 지급 등과 같은 사회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도 사회적 경제 관련 기업·조직들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 사회적 경제 활동을 하는 기업이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로컬푸드)을 적극적으로 유통·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소규모 농어업인을 위한 지역농산물(로컬푸드) 직매장을 확대하기로 했다. 농촌지역에 있는 ‘농촌교육농장’을 협업을 통해 운영되는 사회적 경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는 사업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농림수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분야에 집중해온 사회적 경제 관련 조직이나 기업들이 앞으로는 지역의 부족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