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제주4·3 대구형무소 수형희생자 "명예회복 끝나지 않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구형무소 수형인 생존자·지인 실태조사 발표

뉴스1

김영란 4·3조사연구원이 5일 제주시 하니크라운호텔에서 열린 '제주4·3 대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 및 현안 해결을 위한 토론회'에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19.12.5 /뉴스1© News1 오현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뉴스1) 오현지 기자 = 제주 4·3사건 당시 이뤄졌던 불법 군사재판으로 영문도 모른 채 대구형무소로 끌려가 고초를 치른 대구형무소 수형인 중 상당수가 명예회복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는 5일 제주시 하니크라운호텔에서 '제주4·3 대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 및 현안 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4·3 당시 대구형무소에 이감됐던 수형인들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대구형무소 수형인 생존자 또는 지인 355명(총 328명 응답)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4·3 희생자 결정으로 명예회복이 완성됐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67.1%는 아직도 완성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법적 명예회복 조치가 없어서(75.9%), 보상 배상이 없어서(15.9%), 가해자 및 집단의 사과가 없어서(2.3%) 등이 꼽혔다.

이에 반해 명예가 회복됐다는 응답은 11.3%에 그쳤다.

뉴스1

5일 제주시 하니크라운호텔에서 열린 '제주4·3 대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 및 현안 해결을 위한 토론회'에 대구형무소 수감자 명단이 걸려 있다. 2019.12.5 /뉴스1© News1 오현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3 해결과정에서 가장 미흡한 점으로는 피해 보상 및 배상(33.1%)이 자리하며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혔으며, 4·3진상규명(16.4%), 4·3유해발굴 사업(14%), 명예회복 미진(10.6%)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4·3 당시 체포된 이유, 수감된 장소, 정식 재판 여부, 형량선고 장소 등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질문에는 '잘 모른다'는 답변이 대다수였다.

응답자의 44.2%는 체포된 장소를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74.7%는 4·3 당시 체포돼 갇힌 곳을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또 정식 재판 여부를 아느냐는 질문에는 97%, 형량 선고 장소를 묻는 질문에는 99.4%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발표를 맡은 김영란 4·3조사연구원은 "수형인 중 대다수가 실종됐거나 사망했기 때문에 지인과 가족들 눈 앞에서 체포된 게 아니라면 구체적인 장소나 이유를 알 길이 없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4·3 당시 대구형무소에 이감됐던 제주도민은 총 592명으로 추정된다.
ohoh@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