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폐쇄되는 평창 진부비행장에 항공 자동 기상관측 장비 설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창군 "2025년까지 진부비행장 철거"

평창군, 육군36보병사단 등과 합의

뉴스1

5일 오후 3시 강원 평창군 진부면사무소에서 진부비행장 폐쇄에 대한 후속조치와 고충민원 현장 조정에 대한 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12.5 © 뉴스1 장시원 인턴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창=뉴스1) 장시원 인턴기자 = 지난달 15일 평창군 진부비행장의 폐쇄가 결정되고 본격적인 폐쇄절차가 시작된 가운데 후속조치를 위한 현장 조정회의가 5일 개최됐다.

이날 진부면사무소에서 진행된 조정회의에는 한왕기 평창군수, 신희현 육군36보병사단장, 이보형 육군항공작전사령부참모장 등 50명의 평창군민들이 모여 후속조치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권태성 국민권익위원외 부위원장의 개회선언을 시작으로 주요 조정안에 대한 협의가 시작됐다.

뉴스1

이보형 육군항공작전사령부참모장(맨 왼쪽)과 신희현 36보병사단장(가운데), 한왕기 평창군수(맨 오른쪽)가 진부비행장 폐쇄와 후속조치에 대한 주요 논의 안건이 적힌 협약서를 확인하고 있다. 2019.12.5 © 뉴스1 장시원 인턴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창군은 육군36사단과 진부비행장을 폐쇄 후 국유재산법에 따라 처리할 것과 평창군 군유지에 항공자동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할 것에 합의했다.

육군항공작전사령부와는 2022년까지 평창 도시개발과 공익사업 계획을 수립할 것을 약속했다.

또 평창군 군유지에 신규 항공자동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한 후 진부비행장 내 남은 장비를 철거할 것과 2025년까지 기상관측장비 설치가 제한될 경우 재협상하기로 했다.

이 참모장은 “항공기상관측장비는 대관령의 기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강원산불이나 재난 발생 시 파악된 기상을 관공서에 실시간으로 전달해 강원도와 평창군에게 매우 필요한 장비”라며 “이번 조정합의를 통해 육군본부와 국방부 등과 협의를 통해 차질없이 수행 되도록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 참석한 김영구 주민은 “진부비행장 내 장비가 5년 내 철거가 되는 것이 확실한 것이냐”며 “재조정이 또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것이냐”고 질문했다.

뉴스1

5일 오후 한왕기 평창군수가 폐쇄 결정된 진부비행장에 대한 후속조치 관련 36사단과 육군항공과의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2019.12.5 © 뉴스1 장시원 인턴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한 군수는 “폐쇄명령과 동시에 곧바로 이전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국가의 재산을 지자체가 목적에 따라 매입을 한 후 개발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예산도 만들어 내야 해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며 “최대 마지노선을 2025년으로 정하고 조속히 공익에 의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답했다.

또 “현장방문을 했지만 평창군에 영향을 줄 만큼의 면적이 아니다”며 “폐쇄된 진부비행장으로 잠깐 멀어져 있던 면과 면이 합해져 평창군이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군 주민 김만기씨(55)는 “항공기상관측장비 철거에 대해 2025년까지 접수는 됐지만 그 전에 조속히 해결이 되길 바란다”며 “타 지역에 비해 아무 잡음 없이 결과를 이끌어 낸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함을 표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영구 주민은 “주민의 한 사람으로써 감사하다”며 “오늘이 진부면의 최고의 날로 기억될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1

강원 평창군 진부면에 위치한 진부비행장.(뉴스1DB)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창군과 육군36사단은 2015년 9월 진부비행장을 이전하기로 합의한 후 4년간 이전할 대체지를 찾지 못했고 이에 지난해 10월 평창군민들이 진부비행장을 폐쇄해 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1973년 지정된 진부비행장은 진부면 상진부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방부 소유 4필지 1만152㎡와 군유지 1필지 6102㎡ 등 총 5필지 1만6254㎡ 규모다.
cw1@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