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동창리 기능 제한적이라더니… 靑, 北 현황 제대로 판단 못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VOA “北 동창리 발사장에 차량-장비 움직임 포착” 지난달 1일 촬영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발사장 위성사진. 발사대 뒤쪽 그림자 안(왼쪽 사진 원 안 부분)에 차량 혹은 장비로 추정되는 3, 4개 물체가 자리하고 있다. 발사대 남쪽 관측타워 앞에도 차량으로 추정되는 물체들이 늘어서 있다. 사진출처 프랑스 국립우주센터·에어버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기능 발휘는 제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달 5일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이동식발사대(TEL) 발사 여부와 관련해 낸 보도자료에서 북한 동창리 발사장(서해위성발사장)의 현황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지난해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약속대로 동창리 시설의 완전한 폐기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과거와 같은 수준의 실험 능력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북한은 8일 “7일 오후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이 진행됐다” “전략적 지위를 또 한 번 변화 시키는데 중요한 작용을 할 시험에 성공했다”며 청와대의 설명과는 전혀 다른 주장을 폈다. 때문에 여전히 대북 낙관론에 의존하고 있는 청와대가 동창리를 포함한 북한 핵·미사실 시설의 현황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커지고 있다.

위성 발사장과 엔진 시험장을 갖춘 동창리 발사장에서는 2012년 4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3형을 비롯해 은하 3호, 광명성 4호 등의 발사가 진행됐다. 이처럼 북한 핵·미사일 시설의 근간인 동창리를 두고 북한은 지난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동창리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문재인 대통령은 “상당히 중요한 큰 걸음을 내딛은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이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부터 동창리 시설 일부를 복구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이를 두고 청와대는 “(북한이) 부분적인 복구는 하였으나 정상적인 기능 발휘는 제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지만 7일 북한은 전혀 다른 움직임을 보인 것.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동창리 발사장의 현황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북한의 ‘중대한 실험’ 발표에도 불구하고 이날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았다. 북한의 중대 도발 때마다 열렸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역시 열리지 않았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협상 시한인 연말을 앞두고 의도적으로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는 만큼 청와대도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