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기재차관 "미중 추가관세로 변동성 확대시 컨틴전시플랜 조치…신속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제반리스크 철저히 대비"

경기기모멘텀 반등 최선…5대 분야 구조개혁

아시아경제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가운데)이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9일 "미·중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추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변동성이 커질 경우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차관은 "과도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대외여건의 변화를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불확실성이 클수록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를 둘러싼 여건과 변수들을 폭넓은 시각과 긴 호흡에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국내금융시장은 대외 불확실성 전개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조정이 맞물릴 경우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이 확대되며 변동성이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며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MSCI 지수 조정이 중첩된 데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금융·외환시장 안정의 기반이 되는 외환 수급 여건도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에도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경상수지는 상당한 규모의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증권 자금도 채권을 중심으로 연간 10조원 내외의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정부의 대응 방향과 관련해 "정부는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제반리스크들에 철저하게 대비하겠다"며 "금융시장 안정, 경기모멘텀 반등을 위한 정책적 노력들을 다각적으로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면서 상황별 금융시장 안정수단을 재점검하겠다"며 "실물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경기 반등의 모멘텀을 마련하는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불용 최소화 등을 목표로 재정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회계연고 개시와 동시에 재정 집행이 가능하도록 올해 내 완료할 수 있는 재정 집행 사전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피력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한해의 업무를 마무리하며 연말의 여유를 찾기에는 우리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여전히 엄중하다"며 백 리를 가야하는 사람이 구십 리에 이르고서도 이제 겨우 반으로 여긴다는 반구십리의 자세로 대내외 리스크 관리와 내년도 정책준비에 매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국제금융시장 및 주요이슈 동향, 외국인 증권투자 및 금융시장 동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