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27~58세 노동소득 흑자인생, 41세 정점…59세부터 적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2016년 국민이전계정 결과

헤럴드경제

〈자료: 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우리나라 국민은 27~58세까자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인생을 보냈지만 59세부터는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흑자 인생의 정점은 41세로 나타났다.

노동소득은 임금 근로자의 임금소득, 자영자와 무급 가족 종사자의 노동 가치(노동으로 발생하는 소득)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소비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 등 공공서비스와 민간소비를 아우른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26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가 발생한다.

적자는 16세에서 2867만원으로 최대가 된다. 노동소득은 없는 반면, 소비가 2867만원으로 최대를 기록하기 때문이다. 이후 27세부터 58세까지는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져 흑자 인생으로 돌아선다. 흑자 규모는 41세에서 1435만원으로 최대가 된다. 1인당 노동소득이 41세에 3209만원으로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이때 소비는 1774만원에 그친다.

59세부터는 다시 적자가 발생하며 연령증가에 따라 적자 규모는 증가한다. 59세에 노동소득은 1776만원으로 줄어드는 반면, 소비는 1855만원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적자 규모는 79만원이다. 생애주기에서 적자 전환 시기는 2015년 58세에서 2016년 59세로 늦춰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노동 은퇴 시기가 늦춰지면서 적자 전환 시기도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5세에는 노동소득이 844만원으로 줄어드는 반면, 소비는 1735만원에 달해 적자가 59세 때의 10배 이상인 891만원으로 늘어난다. 70세에는 적자 규모가 1186만원, 75세에는 1481만원, 85세 이상에서는 1742만원으로 늘어난다.

통계청은 1인당 생애주기 적자 구조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 흑자, 적자가 차례로 발생하는 3단계 구조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국민 이전계정은 국민 전체의 연령별 노동소득과 소비, 공적이전, 가구 내와 가구 간 사적이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재정부담이 세대 간에 어떻게 재분배되는지 보여준다.

oskymo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