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조선식산은행 복원반대시민행동, "충주 옛 조선식산은행 복원 중단 촉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뉴스

충북 충주 '조선식산은행 건물복원반대시민행동은 9일 "시의 옛 조선식산은행 건물 복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사진=국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북 충주 '조선식산은행 건물복원반대시민행동은 9일 "시의 옛 조선식산은행 건물 복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사진=국제뉴스) (충주=국제뉴스) 김상민 기자 = 충북 충주 '조선식산은행 건물 복원 반대 시민행동(이하 - 시민행동)'은 9일 "시는 옛 조선식산은행 건물 복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시민행동은 이날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는 식산은행 건물을 반면교사로 삼고, 교육관광 등 자원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계획이지만, 외국에서도 식산은행처럼 침략과 수탈의 도구로 사용된 건물과 시설은 철거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건물은 매입 당시에도 낡고 부식이 심해 건축학적 가치는 물론, 안전상 문제로 보전 자체가 의문시됐었다"며, "충주읍성을 중심으로 한 역사 공간과 문화가 아니라 식산은행 건물을 복원하겠다는 것은 역사의 본말을 망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이들은 "충주시가 시민 의견수렴 절차도 없이 2015년 6월 가구점 점포로 운영되던 옛 식산은행 건물을 7억여원을 들여 매입한 데 이어, 주민 반대에도 불구하고 다시 근대문화전시관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해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복원에 반대하는 이유는 식민잔재로 인식하고 있던 건물을 세금을 들여 구입하고, 나아가 복원하고 보존하겠다는 충주시의 주장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며, "지역의 역사를 망각하고 독립운동의 역사를 외면하고 있는 충주시가 아픈 역사도 역사라며 식산은행을 복원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시민행동은 시의 "예산 편성은 기만적이고 실망을 넘어 분노스럽다. 예산 심의 요청을 비롯한 식산은행 복원을 위한 사업계획을 전면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아픈 역사도 모두 간직하자고 한다면 일제강점기로 돌아가자는 것"이고, "시는 등록문화재 뒤에 숨지 말고 해지 신청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애초 복원을 거쳐 근대문화전시관으로 활용할 목적이었으나 원형의 3분의 2 이상 훼손되고 구조상 안전 문제가 드러나 2016년 11월 여론 수렴을 위해 주민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근대 건축물로서 가치가 높다는 복원 찬성 의견과 건물 훼손이 심해 복원이 무의미한 데다 일본의 식민역사라는 반대 의견이 맞섰다.

이에 시는 문화재청의 판단을 받아보기 위해 등록문화재 지정을 신청한 결과, "등재 요건에 부합한다"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판단으로 2017년 5월 이 건물이 등록문화재 제683호로 등록이 돼, "국비와 지방비를 세워 보수정비를 추진할 예정"이며 "공청회 등 민주적 절차에 의해 등록문화재 신청을 했고, 등록문화재가 된 만큼 이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문화재청이 지난달 설계 승인을 완료함에 따라 문화재 정비사업으로 국비를 확보한 뒤 지방비를 보태 12억3천만원을 들여 고증과 사례조사를 토대로 벽체와 지붕 등을 전면 보수할 예정이다.

또한 시는 외부 복원을 마무리한 뒤 이곳을 충주박물관이 수집보관 중인 근대유물 자료를 전시하는 근대문화전시관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충주시 성서동의 일제 조선식산은행(부지 830㎡건물면적 320㎡)은 1918년 한성농공은행 등 6개 은행을 합병해 설립한 기관으로, 동양척식주식회사와 함께 일제가 우리 민족자본을 수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조선식산은행은 1933년 12월 건립됐으며 2015년 시가 7억원에 매입하기 전까지 가구점으로 활용됐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