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 "동창리 기능 제한적" 평가, 한 달만에 北 "중대 시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전략적 지위 변화시킬 대단히 중대 시험" 발표

美 비확산전문가, 위성사진 분석 "로켓엔진시험 추정"

기존 ICBM 성능 개량 혹은 위성발사체 엔진 시험한듯

이데일리

2017년 3월 19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신형 고출력 로켓엔진 지상분출시험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한 화면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능력에 대한 평가로 곤혹을 치른 청와대가 북한의 서해위성발사장 활동 관련 발표로 또 옹색해진 모양새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위치한 서해위성발사장은 자동식 개폐 장치가 있는 67m 높이의 발사대와 로켓 조립시설을 비롯해 엔진 시험용 수직발사대 등을 갖추고 있다. 북한은 이곳 발사대에서 2016년 2월 7일 ‘광명성 4호’, 2012년 12월 12일 ‘은하 3호’ 등을 쏘아올렸다. 또 수직발사대에선 2017년 3월 18일 고출력 엔진 분출시험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완성된 ‘백두산엔진’은 ICBM급 탄도미사일로 평가받는 화성-14형과 15형에 장착됐다.

북한은 지난 2018년 4월 핵·미사일 모라토리움 선언 이후 6월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서해위성발사장 폐쇄를 구두로 약속했다. 지난 해 9월 열린 남북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북한은 영구 폐쇄를 문서화했다. 이에 따라 실제 발사장 내 엔진시험시설을 포함한 일부 시설물을 철거한 바 있다.

다만 올해 2월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서해위성발사장 복구 정황이 여러차례 포착됐다. 청와대 역시 지난 달 5일 “북한은 동창리 발사장 내 엔진시험시설을 포함한 일부 시설물을 철거했다가 올해 2월 부분적인 복구를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상적인 기능 발휘는 제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었다.

그러면서 북한 ICBM 능력에 대해 ‘안일한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는 비판을 받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발언을 적극 옹호했다. 아직 북한 ICBM은 이동식발사대(TEL)에서 직접 발사하기에는 완전치 않고, 동창리 폐기 이후엔 ICBM 발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청와대가 이같은 입장을 밝힌지 한 달여 만에 북한은 이 곳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전략적 지위를 또 한 번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북한이 9일 현재까지 구체적인 시험 내용에 대해 밝히지 않았지만, 발표 내용으로 미뤄볼 때 ICBM 등 전략무기 관련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신형 고체 연료 ICBM 엔진 시험 △기존 액체 연료 ICBM의 엔진 성능개량 시험 △군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우주발사체(SLV) 고출력 엔진 시험 등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의 핵 비확산 전문가인 미들버리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책임자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전날 트위터에 “시험 전과 후로 추정되는 위성사진을 보면 동창리에 있는 위성발사장에서 로켓엔진시험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청와대는 이날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활동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다. 국방부 역시 “한·미가 긴밀한 공조 아래 북한 동창리를 비롯한 주요 지역 활동에 대해서 면밀히 감시하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정밀 분석 중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북정보 사안을 확인해줄 수는 없다”고 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제프리 루이스 미국 미들버리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이 8일 트위터에 북한의 서해위성발사장 시험 발표 전후를 각각 촬영한 상업용 위성업체 플래닛랩스를 캡처해 올린 사진이다. 지난 7일 위성사진(위)에서 관측됐던 차량과 기자재들은 8일 사진(아래)에는 포착되지 않았다. 8일 사진에선 일부 지형(원 안)도 변해 로켓엔진시험 후폭풍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트위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