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대구신세계百, 오픈 3년만에 대구 소비지형 바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대구신세계백화점 전경. 사진 | 신세계백화점


[스포츠서울 권오철 기자] 대구신세계백화점(이하 대구신세계)이 낙후됐던 동대구역 상권을 살리는 등 오픈 3년 만에 대구광역시의 소비지형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첫 민자 복합환승센터를 품고 있는 대구신세계가 동대구역 골목상권에도 활력을 불어넣으며 지역 균형 발전에 일조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10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대구은행의 신용카드 사용실적 데이터 분석결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대구은행 BC카드 결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신세계가 자리한 동대구역(7.3%)이었다. 또 도시철도 동대구역 이용객(하차)은 2016~2018년 사이에 32.5%나 늘었다. 최근 대구에서 새롭게 개통된 설화명곡역과 화원역을 제외하면 가장 큰 증가세다.

2016년 12월 대구신세계가 문을 열기 전까지 대구 상권의 중심은 반월당역과 중앙로역이 자리한 동성로 주변에 집중됐었다. 대구신세계가 자리잡은 동구는 과거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지역이었지만, 오픈 3년만에 대구시를 대표하는 상권으로 도약했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와 대구신세계로 인해 유동인구와 통행량이 증가하고 오피스텔 등 거주시설이 확대되면서 동대구역을 중심으로 한 주변 상권이 활발하게 움직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동대구역 상권은 젊은 세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20.6%)와 30대(25.0%), 40대(21.5%)가 카드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해 젊은 층 중심으로 동대구역 주변상권에 유입되고 있다. 이에 동대구역 주변에는 서양음식, 미용원, 제과점, 레저업(요가·필라테스) 등 젊은 층이 선호하는 자영업이 많이 생겨나고 카드결제 금액도 크게 늘었다.

또 대구신세계가 올해 10월까지 지역별 방문객을 살펴본 결과 방문객의 절반 이상(57.3%)이 외지인으로 파악됐다. 대구시민들뿐 아니라 전국에서 관광객이 몰리며 동대구역 주변상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신세계는 “KTX와 SRT, 고속버스, 시ㆍ내외버스, 지하철 등 모든 대중교통 수단이 집결된 복합환승센터를 통해 포항, 구미 등 인근 경북지역은 물론 서울, 수도권 거주자들까지 모여들며 대구광역시를 대표하는 상권으로 도약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대구신세계가 대구시 상권 판도를 바꿀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교통 장점과 더불어 대구신세계만의 강력한 컨텐츠에 있다. 대구신세계는 압도적인 하드웨어를 가득 채운 가족 엔터테인먼트 시설, 세계 각국의 먹거리 등 다양한 컨텐츠가 장점이다. 지역 최초로 들어선 ‘아쿠아리움’을 시작으로 옥외 테마파크 ‘주라지’, 스포츠 테마파크 ‘트램폴린 파크’, 1930년대 상하이의 옛 골목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한 맛집 거리 ‘루앙스트리트’, 영화관, 대형서점 등 대구신세계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모두 갖추고 있다.

배재석 대구신세계 점장은 “복합환승센터를 기반으로 한 많은 유동인구, 압도적 규모의 차별화 테넌트, 수준 높은 문화 콘텐츠 등을 통해 대구신세계가 동대구역 주변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지자체 기업투자 유치 프로젝트의 대표 성공 사례로 꼽히는 대구신세계는 앞으로도 지역 발전은 물론 지역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konplash@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