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원주 캠프롱 부지, 복합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주시, 반환 미군기지 활용 방안 밝혀

시민단체 “용산처럼 국비지원 이뤄져야”
한국일보

원주 1군사령부 부지 환원 범시민대책위원회가 지난 9월2일 오후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청와대의 미군기지 조기 반환 추진 결정을 환영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11일 원주 태장동 캠프롱을 비롯한 미군기지 4곳을 돌려받기로 했다고 발표하자 원주시와 지역사회가 도시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원주시는 이날 그 동안 시민들의 적극적인 조기 반환 촉구 활동과 무려 106차례에 걸친 대정부 건의가 결실을 본 것이란 입장을 내놨다.

태장동 일원 34만4,332㎡ 규모인 캠프롱은 1951년부터 미군이 주둔하다 2010년 6월 평택으로 이전한 뒤 9년째 방치돼 왔다. 앞서 원주시는 2013년 6월 국방부와 토지매입 협약을 체결했고 3년 뒤인 2016년 3월 665억원을 완납했다.

그러나 토양 오염 정화 비용 부담을 둘러싸고 미군과 환경부가 줄다리기를 벌이는 사이 공시지가가 올라 시는 올해 6월 땅값 상승분 125억원을 추가 납부했다. 토지 매입비로만 790억원을 부담한 셈이다.

시는 캠프롱 부지를 북부권 주민들의 여가선용과 휴식공간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캠프롱 부지 내 건축물과 시설물 등은 현장 조사를 해 북카페 및 숲속의 집 등으로 리모델링 후 활용할 계획이다.

문화 체육공원 조성사업은 올해 9월 강원도에 도시관리계획 결정을 요청해 현재 관련 기관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원주시의 설명이다.

도시관리계획이 결정되면 토양오염정화 기간 공원 조성계획 수립과 실시설계가 가능하도록 용역을 진행 중이다.

원주 1군사령부 부지환원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용산과 의정부는 국비가 지원돼 공원과 각종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며 “정부는 앞으로 개발 비용도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정부가 원주, 부평, 동두천에 있는 4개의 미군기지를 반환 받았다. 또 용산의 미군기지 반환을 위한 협의 절차도 개시했다. 정부는 11일 오후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에서 미국과 제200차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를 개최해 장기간 반환이 미뤄져 온 4개의 폐쇄된 미군기지를 즉시 돌려받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용산 미군기지.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은성 기자 esp7@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