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월성원전 주변 주민들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확충 서둘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일 원안위 회의에서 논의… 허가 여부 촉각 속 “기대 반 우려 반”
한국일보

월성원전 인근 주민들이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확충을 요구하며 내 건 현수막. 김성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주 월성원전 정상 가동에 필수적인 사용후핵연료 조밀건식저장시설이 포화상태가 임박한 가운데 추가 건설을 결정할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24일 열릴 것으로 알려져 이목이 쏠리고 있다. 월성원전 주변 주민들은 이번에는 원안위가 건설을 허가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또다시 결론을 내지 못하고 미룰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은 습식, 건식으로 구분되며 건식은 원통형 콘크리트 구조물에 저장하는 캐니스터와 콘크리트 구조물 안에 원통형 저장용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놓는 맥스터로 나뉜다. 월성원전이 추가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같은 면적에 보다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는 맥스터이다.

한수원과 경주시 등에 따르면 맥스터 건설을 위해선 경주지역실행기구를 통한 주민의견 수렴과 원안위의 운영변경허가, 경주시의 공작물 축조신고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경주시 관계자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21일 지역실행기구 출범식을 했지만, 정부가 운영변경허가를 내주지 않아 자칫 실기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21년이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포화, 원전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며 “맥스터 건설을 위해선 절대적인 공사기간만 19개월이 걸리므로 내년 초에는 착공해야 하고, 이를 위해선 행정절차를 미룰 여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건설허가건을 쥔 원안위는 지난달 22일 열린 제111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초 예정에 없던 24일 회의를 열어 재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월성원전 주변 주민들은 “이번에는 반드시 허가가 나야 한다”며 “원안위는 이것저것 눈치보지 말고 소신껏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민들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심사결과 원자력안전법에서 정하는 기술기준이나 부지의 안정성 등이 허가기준을 만족한다는 결론에도 불구하고 심의의결을 미룬 것은 직무유기”라며 비난했다.

주민들은 또 이 같은 사실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지난 8일 정부 정책을 성토하는 현수막 45개를 내걸었다.

최학렬 감포읍 주민자치위원장은 “맥스터를 적기에 증설하지 못하면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월성원전 2~4호기 가동이 중단되고 결국 정부, 경주시, 한수원이 직접적인 피해를, 주변지역 주민들은 간접적 피해를 보게 된다”며 원안위 위원들이 탈원전 정부의 눈치를 보지 말고 지역 현실과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본연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월성원자력본부에 따르면 월성원전 부지 내 캐니스터와 맥스터의 저장률은 현재 96.51%에 이른다.

김성웅 기자 ks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