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경실련 "청와대 참모진 부동산 40%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 뉴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을 거친 참모진들의 부동산 자산이 최근 3년간 40% 상승했다. 자산이 많이 증가한 상위 10명은 집값이 10억원 가까이 뛰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1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했거나 현재 재직 중인 참모진의 부동산 재산 현황을 분석했다.

1급 이상 고위 공직자 76명 중 아파트·오피스텔을 보유했다고 신고한 65명이 대상이다. 경실련은 KB국민은행 부동산 시세 자료와 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2017년 1월 참모진 65명이 보유한 아파트·오피스텔 시세 평균은 1인당 8억2,000만원이었지만, 지난달에는 11억4,000만원으로 40% 증가했다. 가격 상승액 상위 10명으로 범위를 좁힐 경우 1인당 평균 27억1,000만원 상당을 보유해 2017년 1월보다 9억3,000만원(52%)이 올랐다.

경실련은 2017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약 3년간 시세 기준으로 1인당 평균 3억2,000만원이 늘었다고 밝혔다.

주현 전 청와대 중소벤처비서관이 보유한 서울 강남구 아파트 등 3채의 시세는 2017년 1월 29억8,000만원이에서 올해 11월 43억6,000만원으로 13억8,000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여연호 국정홍보비서관은 11억3,000만원, 김조원 민정수석비서관도 11억원이 올라 부동산 재산 상승 상위권을 차지했다.

"모든 국민이 강남에서 살 이유가 없다"한 장하성 전 정책실장의 서울 송파구 아시아선수촌 아파트의 현재 시세는 28억5,000만원으로 같은 기간 10억7,000만원이 올랐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설계자로 꼽히는 김수현 전 정책실장의 경기 과천시 주공 6단지도 재건축되며 2017년 9억원에서 현재 19억4,000만원으로 2배 넘게 뛰었다. 김상조 현 정책실장의 서울 강남구 청담동 아파트도 2017년 11억5,000만원에서 15억9,000만원으로 4억원 넘게 상승했다.

경실련은 "가격 상승액 상위 10명이 보유한 12채 아파트의 토지 시세와 공시지가를 비교한 결과 시세반영률은 평균 39%에 그쳤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소수(사례)를 일반화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참모 중 재산이 늘어난 사람도 있고 줄어든 사람도 있고 그대로인 사람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