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송년회때 한곡 뽑은 노래, 음성질환 유발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요즘 송년회는 주로 1차에서 마무리되지만, 필 받으면 2차 노래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과음으로 인한 '무모함'에 평소 부르지 않는 노래를 고래 고래 소리지르며 몇곡 뽑고 나면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날리기도 하지만, 성대손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음성질환은 성대결절, 성대폴립이다. 특히 요즘과 같이 건조한 날씨는 성대 건조에도 영향을 미쳐 조금만 관리에 소홀해도 성대가 손상되기 쉽다.

음성언어치료전문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자신의 성량과 음역대에 맞지 않는 소리를 장시간 무리하게 내면 성대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 돼 음성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말모임 분위기를 올리기 위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음주가무다. 하지만 과도한 음주가무는 성대 건강을 위협하는 적이다. 술은 성대를 건조하게 만들고, 혈관을 확장시켜 성대 점막을 붓게 만들고, 과음 후 구토를 하게 되면 역류한 위산으로 인해 성대가 붓거나 상처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늦은 시간까지 이어진 술자리에서 기름진 음식 등을 과식하고 바로 잠자리에 들면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해 후두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음주 후 찾은 노래방도 성대건강에는 독이다. 술을 마신 후의 성대는 매우 건조한 상태인데 이 상태로 자신의 성량에 맞지 않게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거나 과도한 고음을 내는 등 목소리를 남용하면 성대결절이 생길 위험이 높다. 성대결절은 목소리 혹사로 성대에 염증성 반응이 일어나면서 성대점막이 두꺼워지는 것으로, 쉬고 갈라지는 목소리가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이렇게 쉰 목소리는 보통 일주일 이내에 회복되지만 장기간 지속된다면 다른 질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연말에 즐기는 공연도 자칫하면 성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보통 콘서트에서는 큰 소리를 신나게 노래를 부르고,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응원하며 고함을 지르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때 과도하게 목소리를 사용하거나 갑자기 순간적으로 큰 소리를 내면 성대의 미세혈관이 터지면서 물혹이 생기는 성대폴립이 나타날 수 있다. 성대폴립은 평소와 달리 저음의 낮은 목소리가 나거나 거칠고 쉰 목소리가 나면 의심해봐야 하며, 흡연이나 역류성 식도염이 동반될 경우 증상이 악화된다.

평소 음성질환을 예방하려면 건조한 상태의 성대를 촉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평소 틈틈이 미지근한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고, 술을 마신 후나 노래방 회식 후에는 더욱 많은 양의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또한 목소리를 남용한 다음 날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며, 만약 쉰 목소리와 같은 목소리 변화, 통증, 이물감 등의 증상이 2주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연말 성대결절, 성대폴립 등의 음성질환은 특정인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다른 음성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며 "음성질환은 과도한 목소리 사용이 주 원인이므로 단기간 내 음성언어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는 만큼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