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테르 효과’의 위험도가 성·연령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베르테르 효과는 유명인이나 자신이 선망하던 사람이 극단적 선택을 했을 때 그 인물을 따라 같은 선택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터넷으로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고 개인 방송,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뉴스의 확산성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모방 자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울산의대 황정은 교수팀은 1993~2013년까지 20년간 발생한 10건의 대표적인 유명인 자살 사례가 모방 자살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성·연령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대 여성이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교수팀은 먼저 조사 기간 동안 언론을 통해 많이 보도된 유명인 자살 사례 가운데 여성 5건, 남성 5건을 추렸다.
만 10~69세 자살 사례 성·연령별 분석
이후 같은 기간 국내 만 10~69세의 자살 사례를 성·연령별로 나눠 모방 자살 강도와 모방 자살 사망률을 분석했다. 모방 자살 강도는 연도별 자살 건수 증가율을 고려해 평균적으로 예상되는 자살 건수 대비 실제 모방 자살 건수를 말한다. 모방 자살 사망률은 10만 명당 모방 자살 사망자 수를 의미한다.
연구결과 20대 여성의 모방 자살 강도는 평균 약 2.31배였으며 모방 자살 사망률은 약 22.7명 증가했다. 조사 대상 연령층 중 모방 자살 위험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방 자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생각됐던 50대 남성의 경우는 예상과 달랐다. 모방 자살 강도는 약 1.29배로 다른 집단들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모방 자살 사망률은 20대 여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약 20.5명이 증가했다. 50대 남성 역시 유명인 자살 소식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방 자살 강도는 ▶20대 여성 ▶30대 여성 ▶20대 남성 순으로 높았다. 모방 자살 사망률은 ▶20대 여성 ▶50대 남성 ▶60대 남성 순이었다. 연예인 소식에 민감해 특별히 유명인 자살 소식에 민감할 것으로 예상했던 10대는 오히려 성인보다 모방 자살에 민감하지 않았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방 자살을 성·연령별로 비교한 뒤 상대적으로 취약한 집단을 가려낸 첫 연구”라며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만큼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맞춤형 자살 예방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최근 실렸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