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물가와 GDP

빠르게 증가하는 국내 기업부채...증가속도 GDP 43개국 중 3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남산 N서울타워에서 보이는 빌딩 숲[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증가 속도가 전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99.3%로 전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43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3위였다. 1위는 싱가포르로 116.6%에서 119.5%로 2.9%포인트 뛰었고, 칠레(99.1%→101.3%)가 2.2%포인트 오르며 2위였다.

2분기 말 일본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6%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올랐고 미국은 75.0%로 비율이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기업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은 155.5%에서 154.5%로 1.0% 하락했다.

다만 GDP 대비 기업부채의 절대 수준을 놓고 보면 한국이 프랑스, 스위스, 일본 등 선진국보다 낮고 중국과 칠레를 비롯한 일부 개도국도 밑돈다. 수준 자체는 높지 않으나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올해 설비투자가 마이너스(-)인 만큼 빠르게 늘어난 기업 빚은 투자보다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 기업 운전자금 위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작년 2분기 4.0%에서 올해 2분기 7.4%로 올랐다. 반대로 설비투자와 관련이 깊은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은 10.3%에서 7.5%로 낮아졌다.

3분기 들어서는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이 7.3%로 횡보했지만 시설자금은 6.5%까지 낮아지며, 운전자금 대출 증가세가 시설자금을 앞서게 됐다. 금융위기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이 운전자금 증가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수준 자체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가계부채가 1500조 이상 쌓인 가운데 업황 악화 속 기업 대출마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목된다. 한계기업들의 차입금이 늘어나면 경기침체 시 기업 대출이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고, 신용경색이 나타날 수 있어서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0월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막대한 규모의 글로벌 기업부채가 향후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으며 신흥국 중에서는 한국, 브라질, 인도, 터키 은행이 부실 자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업황이 나빠지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어들자 기업들이 운전자금 대출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을 받아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M&A)에 쓰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이어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로 금융비용이 낮아진 가운데 한계기업, 좀비기업들이 대출로 연명하고 있다"며 "경영상황이 좋은 기업들은 여유자금을 은행에 넣어두고 투자를 꺼리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