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거대 양당 승패 가를 '비례용 위성정당'… 18세 50만표도 변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15 총선 4대 변수]

역대 총선서 초선 비율 높은 당이 승리… '새 얼굴' 영입 경쟁

흩어진 보수·갈라진 호남, 여야 모두 통합·연대 시급한 숙제

지난 연말 개정된 선거법으로 처음 치러지는 내년 4·15 총선에선 과거보다 정당 투표가 훨씬 중요해졌다. 정당 득표율에 따라 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을 크게 배분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연동형 비례대표를 겨냥한 위성 정당을 띄울 가능성이 크다. 비례 정당 출범 여부가 선거 승패를 가를 핵심 변수가 되는 것이다. 또 역대 선거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당이 '물갈이'와 '인재 영입'을 잘하느냐가 표심을 가를 수 있다. '패스트트랙 정국'에서 한 몸처럼 움직인 범여권에 맞서 야권이 통합을 이뤄내느냐도 관건이다. 이번에 새로 선거권을 부여받은 만 18세 50여만표의 향방에도 시선이 쏠린다.

◇비례 위성 정당 출범이 최대 변수

한국당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대응 카드로 위성 정당인 '비례한국당' 창당을 공식화했다. 한국당이 '비례한국당'을 만들고, 한국당 지지층이 비례한국당에 정당 투표를 할 경우 이 당은 전체 비례 의석(47석)의 과반인 25~30석을 차지할 수 있다. 민주당은 이를 '꼼수'라고 비판하면서도 내부적으론 '비례민주당' 창당을 검토하고 있다. 이럴 경우 연동형 비례제는 유명무실해지고 '거대 양당 체제'가 더욱 공고화될 수 있다. 이미 민주당, 한국당과는 별개로 '비례민주당' '비례한국당' 당명을 사용하는 창당준비위가 선관위에 등록된 상태다.

조선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동형 비례대표를 노리는 군소 정당들도 난립하고 있다. 현재 선관위에 등록된 정당만 34개다, '기본소득당' '핵나라당' 등 창당을 준비 중인 예비 정당도 17개에 달한다. 정당 득표율 3%를 넘기면 비례 의석을 얻을 수 있다.

◇물갈이와 인재 영입이 무당층 표심 좌우

'패스트트랙 대치'에 따른 정치 혐오로 무당층이 어느 때보다 늘어났다. 여야는 물갈이와 인재 영입으로 무당층 잡기 경쟁에 나설 것이다. 역대 총선에선 물갈이를 통해 '초선 의원 비율'이 높은 정당이 승리했다. 민주당이 승리한 20대 총선에선 민주당 초선 의원 비율이 46%로 새누리당(37%)에 비해 높았다. 19대 때는 반대로 새누리당(51%)이 민주통합당(44%)보다 높았고, 총선에서 이겼다.

민주당은 최근 인재 영입 1·2호로 발레리나 출신 장애인 최혜영(40) 강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시각장애 모친 슬하에서 자란 원종건(26)씨를 발표했다. 한국당은 박찬주 전 제2작전사령관 영입 과정에서 논란이 인 이후 신중을 기하는 태세다. 정치권 관계자는 "누가 유권자에게 어필하는 '새 인물'을 영입하고 성공적으로 물갈이를 하느냐가 승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했다.

◇야권의 보수 통합 이뤄질까

여야의 통합·연대 문제도 21대 국회 지형을 가를 주요 변수 중 하나다. 보수 진영에서는 각 정파가 저마다 '각개약진'을 선언하면서 보수 원내 정당만 5~6개(한국당·비례신당·새로운보수당·우리공화당·이언주 신당·이정현 신당)에 이른다. 한국당 내에선 선거법·공수처 설치 법안 저지에 실패한 이후 "보수 대통합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공화당·유승민계뿐 아니라, 중도 성향인 안철수계 역시 끌어안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보수 통합이나 선거연대가 이뤄지면 수도권·충청권 등에서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야권에선 보수 통합 시한을 2월 초로 보고 있다. 한국당 한 의원은 "전격 통합이 어렵다면 최소 선거 연대까지는 이뤄져야 한다"며 "위에서 판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수도권은 선거를 치르기 어렵다"고 했다.

범여권은 호남에서 민주당과 바른미래당 당권파,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등이 경쟁하고 있다. 여권에선 "보수 통합 시기에 맞춰 호남계 정당들의 선거 연대가 이뤄질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18세 50만 표심 어디로

선거 연령이 19세에서 18세로 내려가면서 약 50만 유권자가 새로 늘어났다. 1000표 이내 접전이 벌어지는 수도권 지역에선 18세 표심이 승부를 가를 수 있다. 민주당은 '조국 사태'로 2030세대가 이탈하면서 젊은 유권자층이 취약 고리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당은 2030 젊은층 지지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여야는 공천에서 청년 가산점을 부여하고 인재 영입을 하는 등 앞다퉈 청년 민심 잡기에 나섰다. 또 18세 유권자들을 사로잡을 맞춤형 정책들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싱크탱크는 이미 모병제와 청년 신도시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한국당도 청년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김동하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