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선택’ 전망 / ‘창업주’인 바른미래당行 가능성 높아 / 안철수계 잔류… 재창당 ‘녹색돌풍’주목 / DJ 때처럼 ‘신당 창당 카드’ 꺼낼 수도 / 중도층 확장 시도 보수야당 러브콜 예상 / 일각 “혁신 이미지 소진… 미풍 그칠 것” / 전문가 “본인 변화·실질적 정치력에 달려”
2016년 2월 당시 대전에서 열린 국민의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뒤 연설하는 안철수 전 의원. 연합뉴스 |
4·15 총선 100여일을 앞두고 ‘잠룡’ 중 하나로 분류되는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이 2일 1년4개월여 만에 정계 복귀를 선언함에 따라 총선 지형에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중도·실용 정치를 강조해 온 안 전 의원이 정계 복귀 후 선택할 길을 크게 네 가지로 전망한다.
우선 안 전 의원이 ‘창업주’인 국민의당을 모태로 한 바른미래당으로의 복귀 가능성이다. 지난해 말 안 전 의원이 돌아오면 대표직을 사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는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바른미래당과 중도개혁세력의 총선 승리를 위해, 그리고 한국 정치의 미래를 위해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며 “그가 원하는 것을 모두 받아들이고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환영의 뜻을 표했다.
정계복귀를 선언한 안철수 전 대표가 2018년 서울시장 후보 시절 유세 차량에 오른 모습. 뉴스1 |
이는 권은희·김삼화·이동섭 의원 등 안철수계는 물론 과거 국민의당에서 한솥밥을 먹던 호남계 의원들이 바른미래당에 잔류하고 있는 만큼 정치 재개에 필요한 인적·조직적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바른미래당을 기반으로 재창당 선언을 통해 2016년 20대 총선에서의 국민의당 ‘녹색 돌풍’ 재현을 시도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대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계복귀를 할 때처럼 신당 창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전 대통령은 1995년 정계복귀를 하며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한 뒤 기존 정당에 있던 의원들이 대거 합류해 세를 늘렸고, 1997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제3정당으로서의 보폭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 정당과 다른 차별성을 강조하며 ‘창당’ 카드를 꺼내 정치를 재개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으로 복귀하더라도 ‘전권을 넘기겠다’는 손 대표의 약속을 마냥 신뢰할 수 없는 등 기득권과 마찰을 빚을 경우 생채기를 피할 수 없는 것도 이유다. 안 전 의원 중심의 신당 창당을 통해 각 당에서 탈당한 현역 의원들이 모일 경우 ‘안철수 신당’이 기호 3번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다.
안철수 페이스북 캡처 |
‘중도층 확장’을 꾀하는 보수 야당들의 러브콜도 쇄도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거론하는 ‘보수대통합’에 뜻을 함께 하거나, 한솥밥을 먹은 유승민 의원의 ‘새로운 보수당’ 참여도 거론된다. 중도 확장이 절실한 한국당은 그동안 안 전 의원에게 ‘문재인 정권 심판’을 앞세워 구애를 해왔다. 하지만 안 전 의원은 이날 복귀 선언에서 “이념에 찌든 기득권 정치 세력들이 사생결단하며 싸우는 동안 우리의 미래, 우리의 미래세대들은 계속 착취당하고 볼모로 잡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어 한국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큰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보수당과의 합칠 경우 ‘국민의당’ 재탕이란 이미지가 강하다.
일각에선 안 전 의원의 복귀를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관측한다. 과거 혁신의 ‘아이콘’ 이미지는 이미 다 소비됐고 정치 활동을 하며 안 전 의원이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을 여러 차례 노출해 ‘참신함’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한국갤럽의 차기 정치지도자 호감도 조사에서 안 전 의원은 호감도 17%, 비호감도 69%를 기록했다. 조사대상 7명 중 호감도는 가장 낮고 비호감도는 가장 높았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출마자 아카데미 입학식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기대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과거처럼 ‘안철수 신드롬’이 다시 불 정도인지는 본인이 얼마나 변했나에 달려 있다”며 “예전에는 정서적인 인기 이런 것에 불과했다면 이제는 그것으론 부족하고 실질적으로 정치력이 있는지를 보고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귀전·곽은산 기자 frei5922@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