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美트럼프 "이란 솔레이마니, 미국인 죽였고, 더 죽일 음모 꾸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TV토론에서 발언하는 트럼프.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이자 정예군 쿠드스군의 수장으로 이란의 중동 작전을 진두지휘했던 거셈 솔레이마니 총령관의 사살을 공표하며 “미국인을 죽였고, 더 죽일 음모를 꾸미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각) 트위터에 이같이 밝히며 “솔레이마니 사령관은 오래전에 제거됐어야 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이란은 결코 인정할 수 없겠지만 그는 이란에서 증오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은 전쟁에서 이긴 적이 없지만, 그렇다고 협상에서 진 적도 없다”면서 이란에 대한 협상의 여지를 열어 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플로리다에 있는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여해 “미군은 완벽한 정밀 공격을 감행해 세계 넘버원 테러리스트 거셈 솔레이마니를 사살했다”라며 “솔레이마니는 미국 외교관과 군부를 향해 임박하고 사악한 공격을 계획하고 있었지만 우리는 그를 현장에서 체포해 끝을 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솔레이마니 사령관은 미국인 수백 명의 생명과 피를 손에 쥐고 있었다”라며 “그가 이라크 내 미국인들에게 엄청난 공격을 가하려는 것이 임박해 방해할 필요가 있었다”라고 주장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미국인은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하기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미국인의 목숨을 구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면서 공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돌렸다.

이란의 도발을 의식한 듯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이란과의 전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라며 “이란 지도부가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사살한) 미국의 결의를 보고 그들의 결정이 긴장을 완화하는 것이기를 바란다”라고 경고의 목소리를 더하기도 했다.

앞서 미국 국방부 솔레이마니 총사령관이 이라크에서 미군의 공습에 사망했단 소식을 전하며 이번 솔레이마니 표적 공습은 ‘대통령의 지휘 아래’ 진행됐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공식 성명에서 “대통령의 지휘 아래, 미국군은 해외 주둔 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솔레이마니를 사살하는 공습을 진행하기로 결단했다”면서, 이번 공습에 대해 ”이란의 향후 공격 계획을 저지하기 위함이었으며, 미국은 앞으로도 세계 어디에서든 우리 국민과 국익 보호를 위해서라면 계속해서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당국은 예방 차원에서 3500여명 규모의 병력을 중동으로 추가 파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2일 쿠웨이트에 도착한 750명의 병력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이란 측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는데,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솔레이마니의 사망 후 성명을 통해 “그가 신에게로 갔다고 그의 사명이 끝난 게 아니다”라며 “지난밤 그와 다른 순교자들의 피를 손에 묻힌 범죄자들을 목표로 한 강력한 복수가 기다리고 있다”고 도발을 예고했다. 이란의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은 이번 공습을 “굉장히 위험하고 어리석은 도발”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라크 의회는 오는 5일 긴급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란 안보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지도자 산하 기구인 최고국가안보회의(SNSC)는 같은 날 긴급회의를 연 후 보도 성명을 통해 “미국은 솔레이마니 장군에 대한 테러가 중동에서 저지른 최대의 전략적 실수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미국은 이번 오산에 따른 결과에서 쉽고 고통없이 빠져나올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사망한 솔레이마니 총사령관은 이란 군부의 최고 실세 중 한 명이자, 이란 내에서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알려졌다. 이란의 역내 전략 설계에 깊이 가담하고 있는 인물로서 BBC 뉴스에 따르면 1998년부터 솔레이마니 사령관은 이란의 혁명수비대 정예군인 쿠드스군을 21년간 담당했다. 쿠드스군은 특수 부대로 해외 작전을 담당해왔는데 이들은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편에서 싸웠다. 이라크 내에서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이 펼쳐질 때 전장에 직접 나아가 시아파가 장악한 국회에 힘을 보탰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