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미국의 이란2인자 드론 참수작전에 복수의 반격은 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파키스탄의 시아파 무슬림들이 3일(현지시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살해한 미군의 공습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 중북부의 종교 도시 곰의 잠카런 모스크(이슬람 사원) 돔 정상에 4일(현지시간) 붉은 깃발이 게양되는 등 미국의 폭격에 대한 이란의 반격이 일촉즉발의 상황을 맞고 있다.

잠카런 모스크의 붉은 깃발은 순교의 피가 흐를 격렬한 전투가 임박했다는 상징물이며 이는 이슬람과 이란이 적에 보내는 경고라고 이란 국영 방송은 해석했다. 일부 현지 언론은 잠카런 모스크에 붉은 깃발이 게양된 것은 처음이라고도 전했다. 깃발에는 ‘이맘 후세인을 위한 복수’라는 뜻의 글귀가 적혔다.

이맘 후세인은 시아파 무슬림이 가장 숭모하는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다.서기 680년 수니파 왕조와 전투에서 처참하게 전사했고, 시아파 무슬림은 여전히 그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적에 대한 보복을 다짐한다.

붉은 깃발을 게양하러 온 종교 재단 관계자는 3일 미국의 폭격에 사망한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의 영정을 앞세우고 모스크 옥상까지 올라갔다.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살해한 미국에 대한 보복의 뜻으로 이 깃발을 게양했다는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서울신문

3일 오전(현지시간) 미군의 미사일 폭격으로 제거된 이란 정예군 쿠드스 사령관인 거셈 솔레이마니(가운데)가 2016년 9월 테헤란에서 열린 한 회의에 참석한 모습. AP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죽음에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3일 ‘가혹한 보복’을 지시했다.

잠카런 모스크는 시아파 무슬림이 숭상하는 12명의 이맘 가운데 마지막인 이맘 마흐디의 형상이 잠시 나타났다는 ‘소원의 우물’로 유명하다. ‘모스크 1000개의 도시’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종교도시 곰에서도 규모가 가장 큰 곳 중 하나다.

미국은 지난 3일 드론을 이용해 이라크 바그다드 공항에 도착한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기습공격했다. 솔레이마니는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며 대중적 인기를 끌던 이란의 제2인자였다.

이번 ‘참수작전’을 재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이 보복 공격을 해오면 이란 내 52곳에 대한 대대적인 응징 공격에 나서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트럼프가 특정한 52곳은 이란이 장기간 인질로 잡고 있는 미국인 인질 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서울신문

3일 오전 이라크 바그다드 국제공항 인근 도로에서 이란 정예군 쿠드스 사령관인 거셈 솔레이마니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미군의 미사일 공격을 맞아 불타고 있다. 미국방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으로 솔레이마니 장군을 제거했다고 밝혔다. 바그다드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여러 가지 부담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군부 실세를 제거하는 극약처방을 한 배경을 놓고는 여러 갈래의 분석이 나온다. 솔레이마니가 미국의 심장부인 워싱턴DC에 대한 공격까지 감행하려 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지난 2001년 발생한 9·11테러의 트라우마에 여전히 시달리는 미국으로서는 테러 예방 차원에서 솔레이마니 제거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주장인 셈이다.

미국 국토안보부가 4일(현지시간) 이란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경고했다. 채드 울프 국토안보부 장관 대행은 이날 신규 국가 테러리즘 경보 시스템 공고를 발행했다.

공고는 “이란은 강력한 사이버(공격)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실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시점에서 미 본토에 대한 구체적이고 믿을 만한 위협을 시사하는 정보는 없다”고 밝혔다.

마이클 모렐 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 대행은 “전 세계 어딘가에서 미국을 겨냥한 민간인 대상 테러리스트 공격이 곧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