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美·친이란 측 모두 '소개령'… 미국-이란 전쟁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강민수 기자] [이란 "미국에 죽음을" vs 트럼프 "이란 52곳에 반격 준비"]

미군의 이란군 최고 실세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 사살 이후 미국과 이란 사이 전운이 감돈다. 이란이 '가혹한 보복'을 예고하고 나선 데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까지 무력 대응을 시사하며 긴장감은 더욱 커졌다. 미 당국은 이라크 내 자국민에 소개령을 내리는 등 발빠른 대책을 나섰고, 뉴욕시 등 미 주요 도시는 '9.11테러'의 악몽을 떠올리며 경계 태세를 갖췄다. 이러한 가운데 이라크 바그다드 미국 대사관 주변에선 폭격까지 벌어졌다.


미 대사관 불과 1km 인근서 폭격…대사관 방화에 문까지 부숴

머니투데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라크 바그다드의 이라크 주재 미 대사관 앞에서 친이란 시아파 민병대(PMF)가 주도한 시위대가 시위를 벌이며 창문을 부수고 있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일(현지시간) AP·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이라크 알발라드 공군기지와 미 대사관이 있는 그린존에 대한 포격이 잇달아 발생했다.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에서 북쪽으로 약 60여km 떨어진 알발라드에는 미군이 주둔한다. 그린존은 미국을 포함한 각국 대사관, 의회, 정부 청사 등 주요 시설이 밀집된 곳이다.

지난 2개월간 이라크 미군 기지를 겨냥한 공격은 10여 차례 있었으나, 이번 사건은 솔레이마니 피살로 미국과 이란 간 갈등이 고조된 상태에서 벌어져 관심이 쏠렸다. 이날 이라크 친이란 시아파 민병대(PMF) 카타이브-헤즈볼라(KH)는 레바논 알마야딘 방송을 통해 "이라크 군경은 일요일(5일) 저녁부터 이라크 미군 기지 주변에서 1000m 이상 떨어져 있으라"고 경고하며 공격을 예고했다. 이라크에는 5000명 이상의 미군이 주둔해 있다.

미국 또한 발 빠른 대책을 내놨다. 이라크 주재 미 대사관은 3일 이라크에 있는 모든 미국 시민권자에게 즉시 출국하라는 소개령을 내렸다. 앞서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바그다드의 미 대사관에서는 시아파 민병대가 주도한 시위대가 출입문을 부수고 난입해 방화하는 등 혼란이 벌어진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란의 보복 위협에 맞서 미 국방부가 약 3500명의 병력을 중동에 추가 배치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7일 솔레이마니 장례식…이란 "미국에 죽음을" vs 트럼프 "52곳에 반격"



머니투데이

4일(현지시간)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열린 반미 시위에서 시민들이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의 그림을 들고 추모하고 있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일 이란 테헤란, 이라크 바그다드 등에서는 시민들이 몰려 솔레이마니의 추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는 피의 복수를 상징하는 붉은 깃발을 들고 "미국에 죽음을" 이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라크 출신 군인의 유해는 이라크 나자프에 묻히고, 솔레이마니의 시신은 이란으로 옮겨진다. 이란 정부는 4~6일 솔레이마니의 추모 기간을 선포하고, 오는 7일 장례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란은 현재 미국에 대한 강경 보복을 예고한 상태다. 이란 국영 프레스TV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3일 오전 긴급 성명을 통해 "솔레이마니 총사령관이 흘린 순교의 피를 손에 묻힌 범죄자들에게 가혹한 보복이 기다리고 있다"고 경고했고,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솔레이마니의 딸을 찾아가 "이란 모든 국민이 선친의 복수를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란 타스님통신에 따르면 이란혁명수비대(IRGC)의 그호라마리 아부함제 사령관은 "중동 지역 미국인 주둔 주요 35곳이 이슬람 공화국의 영역 안에 있다"며 "이 중에는 미군의 심장부인 이스라엘 텔아비브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란의 보복 예고에 트럼프 대통령도 강경 맞대응을 시사했다. 지난 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솔레이마니 총사령관 사살은 전쟁을 시작하기 위한 게 아니라 끝내기 위한 것"이라며 이란 달래기에 나섰으나, 이튿날 트위터에는 "이란이 공격한다면 52곳에 반격할 준비가 돼 있다"며 태도를 바꿨다.


'9.11 테러' 악몽 떠올리는 뉴욕…사이버 테러 위험까지



머니투데이

3일(현지시간) 빌 더블라지오 미국 뉴욕시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과 이란과의 긴장 고조를 두고 "우리는 사실상 전쟁상태"라고 밝혔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당국은 미국 본토를 겨냥한 즉각적인 위협은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나, 뉴욕 등 주요 도시에는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2001년 이슬람 테러조직 알카에다에 의한 9.11테러로 약 3000여명의 목숨을 잃은 뉴욕의 빌 더블라지오 시장은 "어젯밤부터 우리는 다른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며 "현재 우리는 사실상 전쟁상태(de facto state of war)에 있다"라고 밝혔다. 30~50만명에 이르는 이란 공동체가 있는 로스앤젤레스(LA) 또한 시민들에게 경계경보를 발령했고, 시카고는 공항 보안 인력을 강화했다. 채드 울프 미 국토안보부 장관 대행은 이란의 미국 핵심 인프라(기반 설비)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경고했다.

앞서 미군은 지난 3일 이른 오전 이라크 바그다드 공항에 도착해 차량으로 이동하던 솔레이마니 총사령관을 드론으로 공습해 사살했다. 지난달 27일 이라크 내 미군이 있는 기지가 로켓포 공격을 받아 미국인이 1명 사망한 이후 나온 대응 조치이다. 솔레이마니는 이란혁명수비대 최정예로 꼽히는 쿠드스군을 지휘하며 시리아 내전과 이슬람국가(IS) 격퇴전에서 숱한 전과를 남겼으며, 2018년부턴 이라크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현지 친이란 시아파 민병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강민수 기자 fullwater7@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