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란, 사실상 핵합의 탈퇴…美에 강경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수현 기자] ["핵합의에 명시된 우라늄 농축 등 제한 지키지 않을 것"…고조되는 미국·이란 갈등]

머니투데이

거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의 장례식. /사진=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이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서 정한 우라늄 농축 등 핵프로그램에 대한 제한 규정을 더이상 지키지 않겠다고 밝혔다. 핵합의를 사실상 탈퇴한 것으로 풀이됐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5일(현지시간) 국영TV를 통해 방송된 성명에서 "이란은 핵합의에서 정한 우라늄 농축용 원심분리기 수량 제한을 더는 지키지 않는다"면서 "이는 곧 우라늄 농축 능력과 농도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더 이상 원심분리기 수에 제한은 없을 것”이라며 이란의 사실상 핵협정(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탈퇴를 확인했다. /사진=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 정부는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철회한다면 이 같은 결정을 번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이란에 대한 경제, 금융 제재를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핵합의는 사실상 유효하지 않게 된 셈이다.

핵합의는 지난 2015년 타결됐다.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 시절이던 당시 주요 6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중국)은 이를 통해 이란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기로 하는 대신, 이란이 핵무기에 쓰일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 개발을 포기하도록 만들었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들어섰고 미국은 2018년 5월 일방적으로 협정에서 탈퇴했다.

이란의 핵합의 탈퇴 발표는 최근 이란 군부 요인인 거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이 미군에 의해 폭사하면서 나왔다. 알자지라는 "미국의 솔레이마니 사령관 살해로 이란의 많은 정치인들이 충격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이란 정부는 미국에 대해 '가혹한 복수'를 약속했다"고 전했다.

김수현 기자 theksh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