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SKT, CES서 5G 기반 미디어·모빌리티 신기술 소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사진=SK텔레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SK텔레콤이 7일~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CES 2020)에서 5G 기반의 다양한 미디어·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이번 'CES 2020'에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C와 '미래를 향한 진화의 주체'라는 주제로 715㎡(약 216평) 규모의 공동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 최신 미디어 기술 전시= 전시 부스에서는 5G 모바일에지컴퓨팅(MEC) 기술 기반의 ▲5G-8K TV ▲콜라(Call+AR) for 세로 TV ▲5GX 멀티뷰 ▲점프 증강현실(AR) 아쿠아월드 ▲워치앤드플레이 ▲미국 디지털TV 방송 표준 규격(ATSC 3.0) 등의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선보인다.


5G-8K TV 시청자들은 SK텔레콤의 5G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TV에서도 멀티뷰 중계, AR·가상현실(VR) 콘텐츠 등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콜라 for 세로 TV는 T전화 영상통화 서비스 '콜라'를 삼성의 '세로 TV'에 적용한 서비스다. SK텔레콤의 ▲얼굴 인식 기반 AR 기술 ▲실시간 인물·배경 분리 기술 ▲UHD급 초고화질 기술이 탑재됐다.


5GX 멀티뷰는 한 화면에서 최대 12개에 달하는 다채널 영상을 동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e스포츠 선수들의 개인화면과 중계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공연 영상을 감상할 때는 원하는 연주자만 골라서 볼 수 있다.


점프 AR 아쿠아월드는 SK텔레콤의 인터랙티브 시네마틱 AR 렌더링(사용자의 실제 공간과 가상 환경을 합성해 사용자가 가상 공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해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물속에서 다양한 캐릭터와 상호작용을 하며 AR콘텐츠를 즐기는 서비스다.


워치앤드플레이는 인터넷 게임 이용자가 관전 모드와 플레이 모드를 즐길 수 있으며, 방송 시청 중에도 게임 참여가 가능하다. ATSC 3.0 멀티뷰 서비스는 미국 싱클레어사와 함께 선보인다.


◆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소개= SK텔레콤은 전시 부스에서 ▲통합 IVI ▲HD맵 업데이트 기술을 적용한 로드러너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 등 다양한 자율주행 기술과 서비스도 소개한다.


'통합 IVI'는 이용자들이 차량 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SK텔레콤의 통합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다. 'T맵'과 인공지능 '누구', 음원 서비스 '플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웨이브' 등의 서비스가 통합됐다.


HD 맵 업데이트 기술을 적용한 '로드러너'는 차량 운행 중 차선, 신호등, 교통상황 등의 교통 정보를 감지해 기존 HD맵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기술이다.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는 ▲500m 원거리 탐지가 가능한 파장 레이저 모듈 ▲단일 광자 수신기 등 양자 센싱 기술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MEM) 미러 스캐닝 기술이 결합된 시제품이다. 각종 핵심 기술의 결합으로 악천후 상황이나 500m 원거리에서도 명확히 물체를 구별해 내 자율주행에 반드시 필요한 센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SK텔레콤은 "이번 CES 2020 참가를 계기로 차세대 미디어·모빌리티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ICT 기업으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