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경상대박물관 발굴 옥전고분군 유물 10점, 국가 '보물'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과 봉황무늬 고리자루큰칼 4점, 금귀걸이 6점

뉴시스

보물 제2045호 금귀걸이(옥전 M6호분 출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경남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가야유물 4건, 10점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 2042~2045호로 지정됐다.

경상대학교와 문화재청은 지난해 10월29일 합천 옥전고분군 M3호분 출토 고리자루큰칼과 M4호분·M6호분·28호분 출토 금귀걸이를 국가지정보물로 지정예고한 후 지난해 12월26일 지정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보물들은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가야유물로 경상대학교박물관이 1985년부터 1992년까지 5차에 걸쳐 발굴 조사한 것이다.

뉴시스

왼쪽부터 2042호 고리자루 큰칼, 2043호 금귀걸이(위) 2044호 금귀걸이(아래), 2045호 금귀걸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옥전고분군은 고대 합천에 존재했던 가야소국 ‘다라국’의 최고 지배층이 묻혀 있는 공동묘역으로, 수천점의 토기·철기·장신구 등이 출토돼 가야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보물 제2042호 고리자루큰칼 일괄은 한 무덤에서 여러 점의 큰칼이 나온 최초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손잡이와 칼 몸통은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제작됐으며 특히 왕을 상징하는 봉황과 용이 새겨져 있어 당시 가야 왕의 강력한 권위를 보여준다.

또 보물 제2043호·2044호·2045호 금귀걸이는 가야인들이 향유한 수준 높은 금속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보물 제2042호 고리자루큰칼 4점 중 ‘용이 새겨진 고리자루큰칼’과 보물 제2045호 ‘금귀걸이’는 신축한 경상대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관람 가능하고 나머지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등 가야 관련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강길중 경상대 박물관장은 “경상대박물관에서 발굴한 가야유물이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것에 대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를 계기로 귀중한 문화유산의 관리에 최선을 다함과 동시에 지역민과 그 성과를 공유할 여러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합천 옥전고분군은 탁월성과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jkgyu@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