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복천동고분 도기 ‘보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거북 장식 원통형 기대와 단경호 / 동아대 ‘관북여지도’도 지정 예고

부산 동래구 복천동고분에서 출토된 도기와 동아대가 소장한 조선시대 관북지방을 그린 지도가 각각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다.

부산시는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도기 ‘거북 장식 원통형 기대(그릇받침)·단경호(항아리)’와 동아대 소장 ‘관북여지도’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고 6일 밝혔다.

세계일보

부산 복천동고분에서 출토된 도기 ‘거북 장식 원통형 기대’와 단경호. 부산시 제공


가야 문화권 출토 중요 유물 지정조사 사업 중 출토된 도기 거북 장식 원통형 기대와 단경호는 통 모양 그릇받침 위에 목이 낮은 도기 항아리가 얹힌 상태 그대로 출토된 희귀한 사례다. 백제·신라·가야 등 삼국시대 통형 기대에 거북이 모양 토우가 장식된 사례로는 유일하다. 길이 7.2cm의 거북이 토우는 기대의 몸통 중간에 부착됐는데, 매우 사실적이며 조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일보

동아대박물관에 수장돼 있는 관북여지도. 동아대 제공


관북여지도는 1738∼1753년(영조 14∼31) 사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첩의 지도집이다.

조선 시대 관북지방인 함경도 마을과 군사적 요충지를 그린 지도는 화사한 채색과 강에 표현된 물결 등으로 미뤄 도화서 화원의 솜씨로 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회화적 수준이 높다는 평가다.

관북여지도는 부산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17년 10월 보물로 지정 신청되었으며, 보물로 최종 지정될 경우 부산시 소재 보물은 51건이 된다.

부산=전상후 기자 sanghu6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