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청와대 디지털혁신비서관 2파전..업계 '방송통신' 뛰어넘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환정·조경식, 관료출신 2파전..성향 달라

업계, 디지털혁신비서관은 SW, AI 등 신산업 이끌어야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도 정책추진 원활 기대감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청와대에 디지털혁신비서관이 만들어진다. 정보통신부 관료 출신인 양환정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상근 부회장, 조경식 EBS 감사가 물망에 오른 가운데, 업계는 디지털혁신비서관은 박근혜 정부 시절 방송통신비서관 역할을 뛰어넘어 데이터 경제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혁신적인’ 인물이 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도 디지털혁신비서관은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정부 업무 혁신 △방송통신산업 정책 업무를 관장한다고 밝힌 만큼, 기본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분야와 방송통신위원회를 관장하면서도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해 범부처 협력을 이끌 리더십과 혁신성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다.

이데일리

좌로부터 양환정 KAIT 부회장(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과 조경식 EBS 감사(전 방통위 사무처장)이다. 이데일리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력파 양환정, 리더십 조경식, 관료출신 2파전

8일 정부 안팎에 따르면 정부는 과학기술보좌관 산하에 디지털혁신비서관을 만들기로 하고 양환정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상근 부회장과 조경식 EBS 감사에 대한 인사 검증을 하고 있다. 양 부회장과 조 감사는 각각 행정고시 33회, 34회 출신으로 노무현 대통령 시절 정보통신부에서 근무했다.

양 부회장은 서울대 법학 학사와 미국 콜로라도대 전기통신과 석사를 취득했다. 정통부에서 과기정통부까지 전파정책기획과장과 통신정책기획과장, 정보통신정책실장 등을 거치면서 ICT 분야에 정통하다. 김외숙 청와대 인사수석과 서울대 법학과 동기다.

조 감사는 고려대 경영학과 학사와 미시건 주립대 MS in Finanace 석사를 졸업했다. 과기정통부, 방통위를 거쳤으며 통신방송정책총괄팀장, 방송진흥정책국장, 방통위 사무처장 등을 지낸 ICT 전문가다. 친문 핵심인 김태년 의원 등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양환정 부회장은 명쾌한 논리에 합리성이 뛰어난 인물로, 조경식 감사는 균형 감각에 리더십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디지털혁신비서관은 ‘방송통신’ 뛰어넘어야

IT 업계는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부터 요구했던 청와대 내 ICT 컨트롤타워가 이제야 만들어진다며 환영 입장이다. 디지털혁신비서관 역할이 방송과 통신 같은 레거시(legacy·현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 체계)에 집중돼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과거 정부 방송통신비서관은 미래전략수석 아래에 있어 방송통신만 챙겼으면 됐지만, 문재인 정부 디지털혁신비서관은 방송통신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을 포함한 인공지능(AI)·블록체인 같은 신기술 분야, 과기정통부·방통위뿐 아니라 행안부 전자정부, 범부처 AI 협력까지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디지털혁신보좌관이 아니라 비서관급으로 만들어져 아쉽다”면서도 “4차 산업혁명을 청와대에서 이끌 디지털혁신 비서관이 이제라도 만들어져 다행”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관료 출신만 후보에 올라 한계”라면서도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현장 기업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도 원활한 정책추진 기대감

관련 부처들도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과기정통부 ICT 쪽은 과기보좌관에게, 방통위는 국민소통수석 등과 이야기해왔는데 보고라인이 사안 별로 다르고 청와대 안에서도 ICT 총괄책임이 없어 속도감 있는 정책이나 범부처 혹은 중·장기적인 정책 추진이 한계였기 때문이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 위원회가 있었지만 자문기구에 불과해 부처 간 협업이나 갈등 조정에 힘이 실리기 어려웠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디지털혁신비서관은 과기정통부·방통위뿐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분야는 중기부, 헬스케어 분야는 복지부 등과도 협의하게 될 것”이라면서 “ICT 정책에 힘이 실리고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