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SKT-싱클레어 합작회사 출범…미국 ATSC 3.0 방송사업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캐스트닷에라' 미국 버지니아에 개소…클라우드 인프라·OTT·맞춤 광고 집중

(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SK텔레콤[017670]이 미국 최대 지상파 방송사 '싱클레어 방송그룹'과 합작회사를 출범하고 미국 차세대 방송표준인 ATSC 3.0 방송 장비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연합뉴스

SKT-싱클레어 합작회사 출범
(왼쪽부터) 루시 루티스하우저 싱클레어 CFO(최고 재무 책임자), 케빈 게이지 캐스트닷에라 대표 겸 COO(최고 운영 책임자), 이종민 SK텔레콤 테크이노베이션 그룹장, 김진중 SK텔레콤 Value Growth 그룹장이 CES 전시장 SK부스에서 캐스트닷에라의 ATSC 3.0 방송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싱클레어와 최근 합작회사 '캐스트닷에라(Cast.era)'를 출범하고 이달 초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사무소를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합작회사 대표 겸 COO(최고운영책임자)는 싱클레어 케빈 베이지, CTO(최고기술책임자)는 SK텔레콤 박경모 박사가 맡기로 했다.

합작회사는 내년 상반기 중 미국 최초 통신-방송 기반의 고화질 방송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싱클레어가 보유한 전미 방송국 30여곳에 ATSC 3.0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다. ATSC 3.0 방송은 기존 방송보다 빠른 속도로 고화질 영상을 전송한다. 국내에서는 2017년 UHD 방송으로 상용화됐다.

양사는 또 SK텔레콤의 통신 기술과 싱클레어의 방송 인프라를 결합해 미국 방송 시장에서 방송용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고, 초저지연 OTT(온라인동영상 서비스), 개인 맞춤형 광고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합작회사는 SK텔레콤의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기술을 싱클레어 방송 시스템에 적용해 ATSC 3.0 방송용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한다. 기존에는 각 지역 방송국마다 독립적으로 방송 시스템을 운영했는데,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면 싱클레어 거점 서버를 통한 방송국 통합 관리가 가능해 운영 효율성이 높아진다.

또 SK텔레콤의 모바일 MMT(고화질 영상 전송 기술)와 싱클레어가 가진 스포츠 콘텐츠를 기반으로 연내 초저지연 OTT를 선보이기로 했다. 합작회사는 시청자 빅데이터 수집, 분석을 통해 실제 방송에 개인 맞춤형 광고도 도입할 계획이다.

양사는 올해 상반기 내 제주 테크노파크에 5G-ATSC 3.0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워싱턴D.C.에 위치한 싱클레어 방송국에도 5G-ATSC 3.0 솔루션을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CES 기간 SK텔레콤 부스에 설치된 차량용 콕핏에서 미국 최초로 ATSC 3.0 멀티뷰 중계에 성공했다. 싱클레어의 테니스 채널 2개가 한 화면에서 동시에 중계됐으며,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싱클레어 방송국의 ATSC 3.0 송출 타워가 이를 지원했다.

이종민 SK텔레콤 테크 이노베이션 그룹장은 "싱클레어와의 합작회사가 미국 ATSC 3.0 방송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 확신한다"며 "SK텔레콤의 미디어 사업이 해외 시장에서도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srch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