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질본 "중국 폐렴 바이러스 사스와 연관성 높아···그러나 사스로 분류는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중국에서 집단으로 발생한 폐렴의 원인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푸단대학교를 통해 공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박쥐 유래 사스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와 상동성이 89.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상동성은 유전자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낸다. 또 사스와는 상동성이 77%,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50%, 사람코로나바이러스 4종 39∼4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검사 결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사스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동성은 두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근연성(연관성)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WHO와 중국도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를 분석했을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와는 질병의 전염력과 위중도가 다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질본 관계자는 “현재 단계에서 상동성만으로 사스와 직접적 연관성이나 독성을 확정할 수는 없다”며 “바이러스 분류나 감염력,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심층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41명이라고 밝혔다. 감염자 가운데 1명이 사망했고, 7명은 중증, 6명은 퇴원했으며, 접촉자는 총 763명으로 46명은 의학적 관찰을 해제했다. 현재까지 추가로 발생한 환자는 없다.
/이주원기자 joowonmai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