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제주 감귤 가격 폭락' 거리로 나선 농민들 '최저가 보장'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단의 대책 필요한 시점, 가격안정 제도 실시해야"

"정부도 책임, 국민 과일 감귤에 공공수급제 도입"

뉴시스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제주 지역 감귤 생산 농업인들이 13일 제주도청 현관 앞에 감귤을 쏟아 부으며 감귤 가격안정 관리제도 실시를 촉구하고 있다. 2020.01.13. woo1223@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주 감귤 가격이 하락하며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자 생산 농가가 '농산물 가격안정 제도' 실시를 촉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회장 현진희)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의장 송인섭)은 13일 오후 제주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감귤 가격 폭락에 따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거리로 나선 약 100명의 농민들은 감귤산업 소득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생산비 조차 보장되지 않는다며 "정부는 감귤 공공수급제도 실시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감귤농가가 최저 생산비를 보장받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면서 "제주형 농산물 가격안정 제도를 전격적으로 '감귤'에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형 농산물 가격안정관리제'는 단일 품목에 대한 단순 최저가격 보장제도가 아닌 생산자단체 스스로 노력을 했지만 가격하락 위험이 발생했을 때 도가 경영비 등 손실을 보전하는 제도다.

뉴시스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제주 지역 감귤 생산 농업인들이 13일 제주도청 현관 앞에서 감귤 가격안정 관리제도 실시 촉구 집회를 연 뒤 도지사 면담을 요구하며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0.01.13. woo1223@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주요 농산물에 대한 최저가격을 보장하기 위해 2016년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당근'을 시작으로 첫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농민들은 제주도가 예산을 이유로 감귤에 대한 가격안정 관리제 적용을 미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제주도정은 농가가 감귤 최저생산비를 보장받아 안심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감귤 가격안정제'를 당장 계획하고 시행해야 한다"면서 "그 방법이 제주감귤산업 뿐만 아니라 제주경제를 살리는 방법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2019년산 12월 평균 감귤 가격은 5㎏당 6243원(노지감귤 평균 경락가)이다. 이는 2018년 같은 기간 평균 경락가인 8031원, 2017년 9016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농민들은 감귤 하락의 책임이 정부에도 있음을 강조했다.

이들은 "산발적인 지자체의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 정책을 근본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것은 정부가 주요농산물에 대한 공공수급제를 도입하는 것이다"며 "정부는 감귤과 같은 국민 과일에 공공수급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집회를 마친 농민들은 감귤이 든 상자를 들고 제주도청 현관으로 진입을 실시해 이를 막아선 직원들과 대치하기도 했다.

뉴시스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제주도농민단체 관계자들이 13일 오후 제주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감귤 가격안정 관리제 실시를 촉구하고 있다. 2020.01.13. woo1223@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woo1223@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