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형 인센티브에 수학여행까지…중국發 훈풍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일부터 中수학여행단 3500명 방한

지난 7일에는 이융타 직원 5000명 방한

씨트립은 태국 경유 한국단체관광상품 내놔

여행업계 "한한령 해제 기대감 커져"

이데일리

2018년 중화권 수학여행 단체 방한객(사진=한국관광공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올 초부터 중국 대형 인센티브 관광객이 속속 방한하는 등 중국발 훈풍에 여행업계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또 중국 시진핑 주석이 올 상반기 중 방한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난 3년간 관광 시장을 얼어붙게 만든 한한령이 서서히 걷히는 것 아니냐는 장밋빛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 10일 중국 화둥 지역 등 중국 각지에서 출발한 수학여행 단체 관광객이 방한했다. 이번 수학여행단은 한국관광공사가 중국 장쑤 문광국제교류센터와 협력해 유치한 대형 단체 관광객이다. 이들은 10일부터 2월 초까지 총 7회에 걸쳐 3500명이 방한할 예정이다. 겨울철 중국 대형 수학여행단의 방한은 매우 이례적이다.

지난 7일에는 중국 내 건강식품·생활용품 판매기업인 이융탕의 임직원 5000명이 5박 6일간 포상(인센티브) 관광차 인천을 찾으며 기대감을 높였다. 인센티브 관광은 기업이 격려 차원에서 직원들을 해외여행 보내주는 것으로 사드로, 인한 한중 관계 경색 전까지만 해도 수천 명 단위 관광객이 한국에 몰렸다.

여행업계에서는 사드 보복 이후 최대 규모의 단체관광객 방한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A 여행사 관계자는 “올해 들어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방한 소식이 속속 들리면서 업계에서도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면서 “시진핑 주석 방한을 계기로 한·중 양국의 관광교류가 다시 예전처럼 활기를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중국 태국+한국 연계 단체관광상품(사진=씨트립캡쳐)




14일에는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이 태국을 거쳐 한국까지 여행하는 4박 5일짜리 단체관광 상품을 내놨다. 상품 내용을 보면, 방콕을 거쳐 서울에서 남산골 한옥마을, 면세점 방문 등 단체관광을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여행업계에선 태국을 경유지로 끼워 넣은 사실상의 한국 단체관광 상품이라는 해석이다. 중국인들이 해외여행을 위해 주로 찾는 온라인 여행사는 한한령 탓에 한국 단체관광 상품을 올릴 수 없기 때문에 태국을 거쳐가는 우회적인 방법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시 주석 방한을 앞두고 중국 정부와 시장의 반응을 떠보는 차원으로도 해석됐다. 한국 매체에서 해당 상품이 보도되면서 불과 몇 시간 만에 삭제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씨트립은 2018년 11월에도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상품을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한국 매체들이 보도하자 내린 바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 2018년 8월 상하이에 이어 장쑤성 지역에 오프라인을 통한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하는 등 사드 갈등에 따른 보복 조치의 일부 해제를 단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017년 3월 사드 보복이 본격화된 이후 한국 단체관광이 다시 허용된 오프라인 지역은 베이징, 산둥·후베이·충칭시 등 6개 성·직할시로 늘어난 상태다.

올 상반기 중 시진핑 주석의 방한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시진핑 주석의 방한 가능성 등으로 지난 3년간 면세 시장을 얼어붙게 만든 한한령을 해제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중국 관광객은 2016년 806만7700여명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지만, 2017년 416만9300여명으로 반토막 났다. 2018년 479만명, 지난해는 11월까지 551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찾았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최근 중국 인센티브 관광객이 많아진 것은 사실이나, 아직 중국 내 여행사의 단체 관광 상품 판매가 풀어진 것은 아니다”면서도 “시진핑 주석 방한을 계기로 한중 관계가 회복한다면, 양국 국민의 교류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