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영광군, 한빛원전 폐로 가능성 대비 대책 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남 영광군이 수명이 5∼6년 남은 한빛원전 1·2호기가 설계수명을 다하고 폐로(閉爐)될 가능성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영광군은 영광군청에서 한국산업개발연구원과 한빛 1·2호기 폐로 대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1986년과 1987년 각각 상업 운전을 시작한 한빛 1호기와 2호기는 2025년, 2026년 각각 수명이 만료된다. 산업부가 2017년 12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한빛 1호기를 2025년 전력 공급 설비에서 제외하고, 2호기는 2026년 폐쇄키로 잠정 확정했기 때문이다. 수명 연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영구적으로 가동을 멈춰야 한다.

군은 이들 원전의 수명이 연장되지 않고 폐로 절차를 밟을 것에 대비, 지역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하려 용역을 추진했다. 군이 한빛원전 폐로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용역은 착수 후 12개월 간 추진되며, 계획기간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이다.

한빛원전이 2013~2017년 영광군에 납부한 지방세의 경우는 군 전체 세입의 50%를 차지하는 총 2659억원에 달할 정도로 원전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때문에 군은 한빛원전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용역을 통해 폐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추가 재원·지원 대책을 발굴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가 지난해 고리 1호기에 이어 월성 1호기의 영구 정지를 결정하고 폐로 절차에 들어간 것도 영광군의 대책 마련에 영향을 미쳤다.

영광군 관계자는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으로 지역민들이 원전 폐로에 관심이 높다”며 “아직 수명이 남아있어 폐로가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미리 대비하는 차원에서 용역을 발주했다”고 설명했다.

영광=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