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구 2.19명당 자동차 1대 보유…친환경차 비중 2.5%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말 기준 친환경차 60만 대 돌파

수입차 241만대…점유율 첫 10% 돌파

뉴시스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20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LA 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2019 오토모빌리티 LA'에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아이오닉(Ioniq)'이 공개되고 있다. 2019.11.2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우리나라 국민 2명 중 한 명이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367만7366대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2018년 보다 47만5000대(2.0%) 늘어난 것이다. 인구 2.19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국토부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세는 2015년부터 5년 동안 소폭 감소하고 있지만, 1가구 2~3차량의 보편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당분간 완만하지만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전체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2126만대(89.8%)이며 수입차는 241만대(10.2%)이다. 수입차의 점유율은 2009년 2.5%에서 2014년 5.5%, 2017년 8.4%, 2018년 9.4%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료 종류별로 자동차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휘발유와 LPG차량은 등록 대수가 각각 1096만대, 200만대로 점유율이 지속해서 소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휘발유는 2013년 48.5%에서 2019년 46.3%로 줄었고, LPG는 12.3%에서 8.5%로 줄었다. 경유차 등록 대수는 996만 대로 나타나 증가세가 둔화(38.1→42.1%)되는 추세다.

반면 친환경자동차(전기, 수소, 하이브리드)는 총 60만1048대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까지 늘어났다.

국토부 자동차운영보험과 이중기 과장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및 배출가스등급제 시행 등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와 미래 시장의 큰 흐름인 공유경제 확대 등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이 변화되고 있다"며 "앞으로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자동차 정책수립에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