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새해 첫 제조업 체감경기 소폭 반등···전망은 여전히 부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새해 1·4분기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수 침체 장기화, 노동환경 변화, 미·중 무역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여전히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우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1·4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4·4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한 75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2분기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에 성공했지만 기준치(100)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BSI가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 경기를 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 소식도 있었지만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부담스럽고 지난해 수출이 10년 만에 두 자리 수 감소하는 등 민간 부문의 성장 모멘텀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전체 경제 흐름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았다. ‘2019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예측이 절반(49.3%)에 달했고 ‘악화될 것’(40.7%)이란 답변이 ‘호전될 것’(10%)이란 답변보다 4배 많았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새해 투자도 움츠러들 전망이다. 새해 사업운용 계획에 대해 ‘보수적’이라고 답한 기업이 72.2%로 ‘공격적’(27.8%)이라는 답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새해 기업경영을 위협할 대외 리스크로는 ‘미·중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주의’(57.1%), ‘환율·금리 변동성’(43.1%), ‘중국의 경제 성장세 둔화’(33%) 등이 꼽혔다. 대내 리스크는 ‘내수침체 장기화’(74%), ‘최저임금·주52시간 등 고용환경 변화’(55.4%), ‘투자심리 위축’(26.5%) 순이었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세종(100)을 제외한 전 지역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특히 자동차·부품, 기계 등 주력 업종이 밀집한 대구(64)와 경북(65), 경남(66)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103), 제약(100)만이 기준치를 상회했고 철강(68), 자동차·부품(71), 기계(75), 정유·석화(75), 조선·부품(91)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누적되면서 기업의 불안심리와 보수적 경영이 확산되는 등 민간의 경제활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라며 “산업 곳곳에 자리한 기득권 장벽과 구시대적 법·제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등의 근본 대책을 통해 시장 역동성 회복에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용기자 jyle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