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 연속 둔화...수원·광교에 '풍선효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번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감정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12·16 부동산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연속으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당선 연장 이슈 등 교통 호재로 일부 수도권 지역에는 투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3일 조사 기준 서울 주간 아파트값은 0.04% 올랐다. 이는 지난 주 0.07%보다 상승폭이 축소된 것이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12·16 대책의 영향에 더해 정부가 일관되게 규제 강화를 강조하면서 강남 주요 고가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실제 서초구(0.00%)의 아파트값은 30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다. 강남·송파구 아파트 가격 상승폭도 0.01%에 머물렀다. 마포구가 0.09%, 영등포·금천구가 각각 0.08% 뛰는 등 일부 비강남권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으나 서울 25개구 전체가 지난주와 상승폭이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경기도는 0.18%로 지난주(0.1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과천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0.13% 상승했고, 광명시도 0.39%로 지난주(0.31%)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최근 신분당선 연장 예비타당성 통과, 인덕원선 신설 등 교통 호재를 반영한 수원 팔달구는 전주 0.43%에서 금주 1.02%로 오름폭이 2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용인도 지하철 3호선 연장, 리모델링 사업 등의 영향으로 수지가 0.59%, 기흥은 0.66% 올랐다.

전셋값은 연초 비수기를 맞아 오름폭이 둔화됐다. 서울은 지난주 0.15%에서 금주 0.11%로, 경기도는 0.17%에서 0.15%로 각각 상승폭이 줄었다. 강동구는 최근 입주물량 증가로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01% 오르는 데 그쳤다. 양천(0.33%)·강남구(0.24%)도 상승폭이 전주보다 줄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