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창원시, 탈원전 결자해지 촉구…"정부, 국산 가스터빈 육성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허성무 창원시장이 16일 두산중공업이 국산화에성공한 `발전용 가스터빈`에대해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사진 제공 = 창원시]


허성무 창원시장이 최근 두산중공업이 국산화에 성공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에 대해 정부의 전향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두산중공업을 비롯해 원전 협력사의 심각한 경영위기가 발생한 만큼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개발한 가스터빈 사업을 정부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적극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허 시장은 1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수입에 의존한 외국산 제품에서 탈피해 최근 국산화에 성공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관련 산업을 창원의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적극 육성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탈원전 정책에 따른 경영난을 타개하고 새로운 미래먹거리 발굴을 위해 국내외 액화천연가스(LNG)발전 시장의 성장을 주목했다. 2005년부터 국책과제로 5㎿급 가스터빈을 개발한 이후 2013년부터 LNG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을 진행하면서 1조원 규모의 연구개발(R&D)자금을 투입해 개발에 나선 결과 지난해 세계 5번째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 그동안 국내에 설치된 발전용 가스터빈 149기는 전량 수입된 제품으로 12조원 상당의 국부 유출 및 해외 가스터빈 제작사에 에너지 안보를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허 시장은 "정부는 2019년 6월 확정한 에너지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발전용 에너지원으로 LNG 역할 확대 및 차세대 가스터빈 독자개발을 반영했다"며 "창원시는 국산 가스터빈 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 부흥의 새로운 희망과 의지를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최근 두산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사진 제공 = 두산중공업]


그는 이어 "향후 10년간 국내 LNG발전 시장은 발전용 가스터빈 40기가 필요한 신규 20GW, 15조원 규모의 거대 시장"이라며 "두산중공업의 발전용 대형 국산 가스터빈 공급 확대 시 국부 유출 방지를 통한 국익 창출과 에너지 안보 강화,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국내 가스터빈 산업 육성 등 우리나라와 창원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허 시장은 "가스터빈 기술을 보유한 해외 선진국은 가스터빈 개발 완료 초기에 대량 제작을 통한 실증 등의 파격적인 지원으로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가스터빈 시장을 석권한 사례가 있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GE는 1987년 7FA급 발전용 가스터빈을 정부 조기 지원으로 개발해 현재 전 세계 900여 기를 공급해 글로벌 시장의 '큰손'이 됐다. 일본의 MHPS사도 정부 지원으로 2010년 M501J급 가스터빈을 개발해 2018년 세계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다.

허 시장은 발전용 대형 국산 가스터빈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제품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9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시 20기 이상 국산 가스터빈 공급 계획을 반영하고 국산 가스터빈 적용 발전사와 관련 기업 대상 세금 경감, 인센티브 제공 등의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또 창원시 소재 65개를 비롯한 전국 238개의 국산 가스터빈 제작 참여기업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산업 클러스터 육성 지원 등과 같은 정부의 관심 및 세부 지원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허 시장은 "그동안 정부부처 및 정치권을 대상으로 국산 가스터빈 산업 육성의 필요성과 정부 지원을 수차례 강력히 건의했다"며 "창원시의 요청 사항이 시행된다면 국산 가스터빈 산업은 2026년까지 연매출 3조원, 연 3만명 이상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하는 우리나라와 창원의 미래 먹거리로 육성 가능한 만큼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창원 = 최승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