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사설] ‘국회 진출’ 노리는 청와대 참모들의 출마 러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그제 총선 출마를 위해 대변인직을 그만뒀다. 박수현·김의겸 전 대변인 등 문재인 대통령의 입 역할을 했던 3명이 모두 같은 선거에 나서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지게 됐다.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윤건영 전 국정기획상황실장과 주형철 전 경제보좌관 등 출마를 위해 청와대를 떠난 1급 이상 고위직만 해도 25명에 이른다. 행정관급까지 합치면 70명이 넘는다고 한다. “청와대 출신당을 하나 만들어도 되겠다”는 비아냥이 나올 만하다.

청와대 참모들의 줄지은 총선 출마를 무조건 백안시할 것만은 아니다. 과거 정권에서도 있던 일이고, 청와대 근무 경험이 입법활동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도가 지나치다는 점이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때는 10명 선, 노무현 정권 때도 20~30명 정도에 그쳤다. 이번에는 “청와대가 총선 출마 대기소냐”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오죽하면 여당 안에서조차 “이쯤 되면 낙하산이 아니라 공수부대”라며 “많아도 너무 많다”는 볼멘소리가 흘러나오겠는가.

국민의 시선이 고울 리 없다. 마음이 콩밭에 가 있는 청와대 참모들이 과연 어떤 자세로 일을 했겠는가 하는 의구심에서다. 틈만 나면 지역 행사에 발걸음을 하는 등 청와대 비서관으로서 본연의 업무와는 관련이 없는 데 정신 팔았을 공산이 크다. 청와대 근무를 총선 출마용 경력을 쌓는 징검다리로 활용했다는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이미 선거법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윤 전 실장의 경우처럼 여권의 과도한 ‘청와대 출신 우대’가 선거판을 혼탁하게 만들 소지가 있다는 점도 문제다.

참모들의 출마 러시에는 문 대통령의 의중이 작용했다고 한다. 국정 후반기 권력 누수를 막으려고 여당에 ‘친문 인사’들을 대거 포진시켜 장악력을 강화하고 퇴임 후 안전판을 만들기 위한 속내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지 않아도 청와대 발언권이 너무 두드러져 ‘청와대 정부’라는 비판이 나오는 데 이어 ‘청와대 국회’라는 얘기까지 나올 판이다. 하지만 지나치면 탈이 나기 십상이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새 정치를 위한 혁신 공천이 어떤 식으로 이뤄질 것인지 유권자들은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