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판매사, 라임펀드 손실 처리 반발…금감원 "지연 전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라임 판매사 협의체 "즉시 상각 문제 우려" 반발

상각→손실률 산정…판매사 "자산회수부터 해야"

금감원 "손실률 확정 지어야 투자자 대응 가능해"

뉴시스

[서울=뉴시스] 류병화 조현아 기자 = 라임자산운용이 회계법인의 실사가 진행 중인 펀드에 대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상각' 처리 계획을 밝히자 판매사들이 반발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판매사들이 손실률 공개를 뒤로 늦추려는 '시간 끌기' 전략을 쓰고 있다고 일축했다.

17일 금융업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은행과 증권사 등 라임 펀드 16개 판매사로 구성된 협의체의 간사인 우리은행은 라임자산운용 펀드를 즉시 상각하면 발생할 문제점 등의 의견을 담은 서류를 금감원에 제출할 계획이다.

라임자산운용은 지난 15일 "현재 상황의 심각성 및 투자 자산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번 실사보고서의 내용을 기준가격에 반영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상황을 감안해 자산별 평가가격을 조정한 후 기준가격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다만 기준가 반영이 최종 손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평가 이후 각 자산별 실제 회수상황 등에 따라 기준가격이 변동된다"며 "투자자산의 회수금액을 최대화 하기 위해 지난해 11월27일 법무법인과 자산관리용역을 체결해 자산 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임이 제시한 자산별 평가가격 조정 및 기준가격 반영은 회계상 손실인 상각을 의미한다. 삼일회계법인은 3개 펀드의 자산에 대해 A·B·C 등급으로 매기게 된다. 이를테면 A등급은 회수 확실, B등급은 회수 불명확, C등급은 회수 어려움 등으로 나눠 평가한다.

등급에 따라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게 되면 자산 가치가 감소하게 되지만 그에 따른 손실률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판매사들은 이같은 라임자산운용의 '즉시 상각' 입장에 반발하고 있다. 회계법인이 책정한 자산 평가를 100% 신뢰하기 어렵다는 이유가 먼저 꼽힌다. 단시간 내에 실시한 실사인 만큼 90여개에 달하는 기초자산을 모두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어려웠으리란 주장이다.

어느 자산에 투자를 했는지부터 정확히 들여다보자는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지만 고객의 손실을 어떤 비율로, 어떻게 메워줄 것인지에 대한 논의 등이 더 필요해 시간적 여유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판매사 관계자는 "아무리 삼일회계법인이 평가를 하더라도 정확하게 가치평가를 할 수 있겠느냐"면서 "금감원이 즉시 상각 방안을 제시한 것을 두고 강제성을 느낄 수 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판매사 관계자는 "실사 기간이 짧아 정확한 평가인지 알기 힘든 상황에서 판매사는 최대한 자산을 회수하는 게 먼저"라며 "최대한 투자자들에게 돈을 돌려주고 싶은 게 저희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상각은 라임이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통해 결정할 사안이지만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하루 빨리 손실률을 확정 짓고 투자자들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수개월째 환매 재개를 기다리고 있는 투자자들은 상각과 손실률 확정을 통해 추가적인 대응 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고객에게 줄 수 있는 금액이 정확히 얼마인지 확인해야 판매사들도 고객들에게 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대응도 할 수 있게 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판매사가 상각을 늦추자는 것은 '시간 끌기'로 보여진다"며 "손실률이 확정되면 불완전 판매 이슈 등이 언급될 수 있어 반발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hach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