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금감원, 한국거래소 부문검사 유력…"1분기 이후 될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당국, 올해 검사 착수 공감대 속 시기·범위·방식 협의

뉴스1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전경. 2015.7.2/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올해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무산됐던 한국거래소에 대한 검사에 나선다. 검사 착수 시기는 올해 1분기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검사방식은 당초 알려진 종합검사가 아니라 부문검사일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올해 거래소에 대한 검사 착수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검사 시기·범위·방식 등을 협의하고 있다.

인사 시즌을 맞은 금감원에서 이르면 이달 말 금융투자검사국의 새 진용이 갖춰진 뒤 금융위 측과 구체적인 실무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금융권에서 논란이 커진 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 사태로 인해 일손이 부족한 점도 1분기 검사 착수가 어려운 이유다.

금감원 관계자는 "라임운용의 환매 중단 사태 등 일단 급한 불을 꺼야 해서 검사 일정은 조율해야 한다"며 "1분기 검사 착수는 사실상 어렵다"고 전했다.

검사 방식은 종합검사가 아닌 부문검사로 이뤄질 전망이다. 종합검사는 제도운영, 경영실태, 예산, 인력 등 전반을 살피기 때문에 강도가 세지만 부문검사는 특정분야만 들여다본다. 이번 부문검사에서는 그동안 거래소에서 발생한 전산사고 등 각종 문제와 매매거래시스템, 상장·퇴출·시장 운영 등 업무가 도마에 오를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업무적인 것만 위탁받아서 검사할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종합검사라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거래소가 방대한 조직이고, 금융기관과 다른 특수성이 있으니깐 이를 감안해 효과적으로 검사해야 할 것"이라며 "필요하면 어떤 범위라도 검사할 수 있다"고 했다.

거래소는 유가증권·코스닥·코넥스·파생상품 시장의 개설과 운영이 주된 업무다. 거래소는 공직 유관단체로서 금감원이 검사할 수 있는 곳이다. 2015년 공공기관에서 벗어난 거래소는 2010년 마지막으로 종합검사를 받았다. 2017년에는 부문검사를 받은 바 있다.

지난해 금감원 종합검사가 부활하면서 거래소에 대해 9년 만의 종합검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지만, 금융위와 금감원 간 검사방식에 대한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검사가 무산된 것도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융위가 자본시장 혁신을 위한 협력대상인 거래소의 수검부담을 간과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pej86@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