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기도 양돈농가 90%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 만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내 50농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돼지질병 관리 큰 도움”

1두당 연간출하두수 상승 등 효과…농가 ‘사업확대’ 희망

뉴스1

경기도가 실시하는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2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파주시 파평면 돼지농장에서 10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이나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돼지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2019.10.2/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뉴스1) 진현권 기자 = 경기도가 돼지질병 발생 최소화와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자체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에 대한 농가의 만족도가 9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부담 없이도 여러 질병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은 물론 도내 양돈농가들이 효과적으로 돼지질병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면서 양돈농가들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는 지난해 12월2일부터 23일까지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 지원을 받은 도내 7개 시군 내 50개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2019년 돼지질병 방제피드백 사업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매우 만족 42%, 만족 48%)가 ‘만족한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보통이다’는 응답은 10%로 나타났으며,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한 농가는 단 1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족스러운 점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는 ‘농가 자부담 없이 여러 질병검사를 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6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검사결과를 농장 관리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응답이 56%, ‘담당 전문수의사가 검사 결과를 알기 쉽게 설명해 질병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52%로 그 뒤를 이었다.

‘보완해야할 점’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현재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6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혈청검사 두수 또는 횟수부족’이 26%, ‘도축병변 검사 횟수부족’이 18% 등으로 대부분의 농가들이 사업이 확대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실제 개선효과를 본 질병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호흡기 질병’이라는 응답이 66%로 가장 많았으며, ‘전신성 질병’이라는 응답이 52%로 그 뒤를 이었다.

이처럼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이 생산성 향상과 폐사율 감소 등 실제 효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해 초 18.74두 수준이었던 도내 양돈농가의 ‘모돈 1두당 연간출하두수’(MSY)는 지난해 말 19.23두로 0.49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자돈폐사율 또한 지난해 초 19.0%에서 지난해 말 11.7%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도는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발생한 점을 고려할 때 사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에 도는 올해 도비 1억8400만원을 투입,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양돈 농가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이계웅 도 동물위생시험소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등의 악재 속에서도 양돈농가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내실있는 사업 추진을 통해 농가 소득증대를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가 지난 2007년 ‘전국 최초’로 도입, 전액 자체예산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돼지질병 방제 피드백사업’은 ‘사육단계별 혈청검사’와 ‘도축장에 출하되는 돼지의 병변검사’ 등을 실시한 뒤 담당 전문 수의사가 검사결과를 도내 양돈농가에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돼지질병 예방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도내 8개 시군 57개 농가(4123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jhk10201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