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대기업 낙수효과 여전하다…대기업 매출 늘면 중견·중소기업 매출도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용 천명이상 기업 매출·기업수 증가가 고용 천명미만 기업매출 증가로 연결

자동차‘18년 대기업 매출‘10년의 1.3배 증가할 때 중견·중소기업 1.4배 증가

‘기업 규모’만을 기준으로 하는 규제위주 기업정책 지양해야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정순식 기자] 대기업의 성장이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이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른바 대기업의 ‘낙수효과’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이는 대기업 ‘낙수효과’를 부정하던 현 정부의 인식과 상반된 해석이어서 주목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0일 ‘고용 천명이상 기업의 매출과 기업 수가 고용 천명미만 기업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종업원 천명 이상 기업(이하 대기업)의 매출과 기업 수가 증가하면 종업원 천명 미만기업(이하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기업 규모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대기업 규제정책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이 전자, 자동차, 화학 등 13개 제조업종의 2010년~2018년 자료를 기초로 고용 천명이상 기업(이하 대기업)의 매출 및 기업 수가 고용 천명 미만 기업(이하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기업 매출과 중견·중소기업 매출사이의 상관계수는 0.481로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이어 대기업 수와 중견·중소기업 매출 사이의 상관계수는 0.644로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한경연은 상관관계 분석에 이어 대기업 매출과 기업 수가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대기업 매출은 중견·중소기업 매출에 영향을 주지만, 중견·중소기업 매출은 대기업 매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례로 자동차·트레일러 업종의 대기업 매출 또는 기업 수 증가가 업종 내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증가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자동차·트레일러 대기업의 매출이 2010년 107조1000억원에서 2018년 141조6000억원으로, 기업 수가 19개에서 25개로 각각 1.3배 늘 때,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은 49조1000억원에서 70조6000억원으로 1.4배 늘었다.

한경연은 이어 대기업 매출 및 기업수가 증가할 때 중견·중소기업의 매출이 어느 정도 증가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기업매출 1% 증가 시 중견·중소기업 매출은 단기적으로 0.07%, 장기적으로는 0.2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대기업 수 1% 증가는, 중견·중소기업 매출 0.43%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대기업의 매출 및 기업 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견·중소기업의 매출도 함께 증가한다는 점을 볼 때, 기업 규모에 따른 차별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고 세계시장 의존도가 높은 개방경제의 특성을 감안할 때,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의 관계를 좁은 국내시장에서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닌 세계시장에서 경쟁국의 기업들과 경쟁하는 협력적·상생적 관계로 보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대기업에 대한 차별정책은 글로벌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국가대표팀 선수의 발목을 묶고, 투자와 생산 등 기업활동의 해외유출을 부추기는 것과 같다”며, “경제성장은 규모에 상관없이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며 이루어지는 것임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