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울산소방본부, 작년 화재 건수 줄고 인명 피해는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울산소방본부는 '2019년 화재 통계자료' 분석 결과 지난해 울산지역의 화재 건수는 다소 감소했으나 인명 피해는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뉴스핌

지난 2017년 울산남부소방서 석유화학단지 특수차 방수훈련[사진=울산소방본부]2017.08.2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화재 건수는 총 737건, 인명 피해는 71명, 재산 피해는 670억원이 각각 발생했다.

전년 대비 화재 건수는 887건에서 737건으로 감소했다.

반면 인명 피해는 32명(사망 5명, 부상 27명)에서 71명(사망 4명, 부상 67명)으로 다소 늘었으며 재산 피해도 전년 대비 596억원이나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염포부두 선박화재(559억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48억원), 농수산물도매시장 화재(13억원) 등 대형 화재가 다수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화재 원인별로는 부주의가 330건(44.8%)으로 전체 화재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 178건, 기계적 요인 51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의 주요 원인은 담배 꽁초(122건), 음식물 조리(68건), 쓰레기 소각(32건) 등의 인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별로는 산업시설·판매시설 등 비주거용 건물에서 277건(37.6%)으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했으며, 임야 등 기타 화재 201건, 주거용 건물 170건, 차량 화재 85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울주군이 249건(33.8%)의 화재가 발생했다. 다음으로 인구 밀집지역인 남구 173건, 북구 125건, 중구 101건, 동구 89건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화재 발생 현황은 1월 95건, 12월 74건, 3월 70건, 2월 66건 순으로 겨울철에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건조한 기후와 추위로 인한 난방 용품의 취급이 증가하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전기장판, 가스·석유난로 등의 난방용품으로 인한 화재는 관리 및 사용상 부주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에 405건(55%)의 화재가 발생해 야간보다는 시민들이 주로 활동하는 주간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오후 1시~ 오후 3시 100건, 오후 3시~오후 5시 95건 등 오후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소방본부 관계자는 "화재 통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종 화재에 적합한 예방정책을 수립하고 재난현장 활동 시 피해 저감을 위한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인적 부주의로 인한 화재 발생률이 높으므로 화재 예방을 위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