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혁통위 "권위주의 벗고 공감능력 탑재해야 '꼰대보수' 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직-의원직 분리, 비례대표 중간평가제, 블록체인형 토론문화 등 제안

연합뉴스

혁신통합위 회의 참석한 이언주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전진당 4.0 이언주 대표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통합추진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례하고 있다. 왼쪽부터 자유한국당 소속 김상훈 위원, 이언주, 새보수당 정운천 위원, 박형준 위원장. zjin@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이은정 기자 = 중도·보수 통합신당을 추구하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는 20일 신당이 극복해야 할 최대 과제로 '비호감·꼰대' 탈피를 제시했다.

혁통위는 이날 청년들이 다수 참여한 가운데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한 회의에서 "문재인 정권의 폭주와 이에 대한 정권심판 열망에도 지금의 보수가 과연 유능하고 매력적인 대안인지를 놓고 마음을 쉽게 열지 못하는 게 국민 정서"라고 지적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에게 보수는 자유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로 상징되는 매력적 존재가 아니라, 기득권과 권위주의, 그리고 공감능력 부족 등으로 비친다는 게 회의에서 나온 진단이다.

혁통위는 "이같은 이유로 '메신저 거부' 현상까지 낳고 있다"고 했다. 아무리 좋은 '메시지'를 내놔도 '메신저'에 대한 거부감 탓에 좀처럼 수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혁통위는 기존 보수정당에 대해 "당원 구조의 노쇠화와 함께 젊은 당원의 부재로, 젊은 세대의 가치와 문화가 유입될 통로가 매우 협소하다"고 했다.

또한 "문화적 진취성과 개방성을 보여주는 혁신을 창출하지 못하고, 대중문화를 이끄는 중도·보수 기반의 '인플루언서'가 매우 취약하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혁신통합위서 인사하는 이언주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전진당 4.0 이언주 대표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통합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자유한국당 소속 이양수, 김상훈 위원, 이언주, 박형준 위원장, 새보수당 정운천 위원.zjin@yna.co.kr



이성이 아닌 감정과 정서로 대중에 호소할 수 있는 문화적·인적 기반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이는 '반(反)보수 정서와 낙인찍기' 프레임이 더 고착화하는 악순환을 낳는다고 분석했다.

혁통위는 그러면서 보수정당 문화와 행태의 문제점으로 수직적 권위주의, 공감능력 부족, 개방성 부재를 꼽았다.

그 예로 당의 대표와 원내대표만 바라보는 문화, 당 조직의 지시명령형 체계, 수평적 정보교환 부족 등을 거론하면서 '최고위원'이라는 표현부터 권위주의적 요소라고 지목했다.

또 "메시지의 고리타분함과 꼰대 이미지, '가르치려만 들고, 경청하려 하지는 않는다'"라고 지적한 뒤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감수성도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혁통위는 통합 신당이 매력적인 중도·보수 정당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 공감과 소통을 우선하는 '공감 정당' ▲ 책임을 묻기 전에 책임을 지는 '책임 정당' ▲ 선동적 언어를 자제하는 '품격 정당' ▲ 현장에서 호흡하는 '현장 정당' ▲ 세대교체와 청년에 충실한 '미래 정당'을 지향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연합뉴스

발언하는 박형준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혁신통합추진위원회 박형준 위원장이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통합추진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전진당 이언주 대표. zjin@yna.co.kr



이를 구현할 과제로 혁통위는 지방의원을 청년으로 의무 공천해 청년 인재를 양성하고, 당직을 국회의원이 아닌 전문가들에게 맡겨야 한다는 대안을 내놓았다.

비례대표 의원에 대한 중간평가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토론문화, 국회의원·당직자·당협위원장을 대상으로 한 '신(新) 윤리준칙' 확립도 제안했다.

zhe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